반응형 일반화학/[11장] 액체와 분자간의 힘116 화합물의 끓는점 순서. 벤젠 뷰테인 헥산올 헥세인 화합물의 끓는점 순서. 벤젠 뷰테인 헥산올 헥세인 C6H6 CH3CH2CH2CH3 CH3(CH2)4CH2OH CH3(CH2)4CH3 --------------------------------------------------- ▶ 참고: 분자간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헥산올은 강력한 수소결합 가능. 벤젠 뷰테인 헥세인은 모두 무극성 분자이므로, 분산힘이 주요 힘. 분산힘은 몰질량에 비례하므로, 몰질량만 고려하면, 헥세인 > 벤젠 > 뷰테인 이나, 벤젠의 기하구조가 고리형인데 게다가 평면형이라서 사슬형인 헥세인보다 좀 더 강한 상호작용 가능. ( 참고 https://ywpo.. 2023. 3. 17. 고체 액체 기체의 특성 고체 액체 기체의 특성 --------------------------------------------------- ▶ 참고: 제11장 액체와 분자간 힘.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74 ] --------------------------------------------------- [1] 고체. Solid > 일정한 모양과 부피를 가지고 있다. > 고체의 입자들은 촘촘하게 채워져 있고 고정된 위치를 가지고 있다. > 쉽게 압축 또는 팽창될 수 없다. > definite shape (rigid) and volume > particles vibrate around fixed axes [2] 액체. Liquid > 일정한 부피를 가지고 있지만 용기의 모양을 취한다. > 액체.. 2023. 3. 8. 고체 액체 기체로 식별 고체 액체 기체로 식별 --------------------------------------------------- a. 서로 가깝게 위치하지만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는 입자들로 구성된 물질 ---> 액체 b. 멀리 떨어져 있으며 서로 상호 작용이 거의 없는 입자들로 구성된 물질 ---> 기체 c. 부피는 분명하지만 모양은 분명하지 않은 물질 ---> 액체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3268 ] 고체 액체 기체의 특성 2023. 3. 8. 액체 암모니아, NH3(l)의 분자간 힘 액체 암모니아, NH3(l)의 분자간 힘 액체 암모니아, NH3(l)가 증발될 때 벗어나야 될 힘으로 옳은 것은? 1) 공유 결합 2) 분산력 3) 수소 결합 --------------------------------------------------- ▶ 참고: 분자간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참고: 화학 결합과 분자간 힘 [ https://ywpop.tistory.com/5995 ] --------------------------------------------------- 1) 공유 결합 ---> 화학 결합의 한 종류. ---> 증발과 무관. 상태 변화(물리적 변화)와 무관. ---> 화학 반응(화학적 변화)과 상관. 결합 파괴와 상관. 2) 분산력 ---.. 2023. 3. 7. 물질에 존재하는 분자간 힘. HBr NH3 CH4 물질에 존재하는 분자간 힘. HBr NH3 CH4 물질에 존재하는 분자간 힘을 모두 쓰시오. --------------------------------------------------- ▶ 참고: 분자간 힘, 반데르발스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1) HBr: 극성 분자 ---> 쌍극자간 힘, 분산력 2) NH3: 극성 분자 ---> 수소결합, 쌍극자간 힘, 분산력 3) CH4: 무극성 분자 ---> 분산력 [참고] 분산력은 모든 분자에 존재한다 [ https://ywpop.tistory.com/7540 ] 2023. 2. 16. 수소 결합으로 인한 물의 특성 수소 결합으로 인한 물의 특성 --------------------------------------------------- > 분자량이 비슷한 다른 분자들에 비해 녹는점과 끓는점이 높다, 융해열과 기화열이 크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97 ) > 얼음이 되면, 부피가 증가한다. ---> 밀도가 감소한다. ---> 얼음은 물에 뜬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870 ) > 비열(열용량)이 크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 표면 장력이 크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819 ) > 응집력과 접착력. 응집력과 부착력 ( 참고 https://ywpop.tistory... 2023. 2. 16. 14족 수소 화합물의 끓는점 비교. CH4 SiH4 GeH4 SnH4 14족 수소 화합물의 끓는점 비교. CH4 SiH4 GeH4 SnH4 14족 원소의 수소 화합물의 끓는점의 크기를 비교한 것이다. CH4 < SiH4 < GeH4 < SnH4 위 사실과 가장 관계가 깊은 분자간 힘은? --------------------------------------------------- ▶ 참고: 분자간 힘, 반데르발스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모두 무극성 분자이므로, 이들 분자에 작용하는 주요 힘은 ‘분산력’. 분산력은 ‘몰질량에 비례’하므로, CH4 < SiH4 < GeH4 < SnH4 답: 분산력 ( 참고 https://ywpop.tistory.. 2023. 2. 16. 분자간 힘과 끓는점 비교 분자간 힘과 끓는점 비교 1) HCl, O2 2) H2O, H2S 3) Cl2, Br2 --------------------------------------------------- ▶ 참고: 분자간 힘, 반데르발스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1) HCl, O2 HCl은 쌍극자간 힘 > O2는 분산력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81 ) 2) H2O, H2S H2O는 수소결합 > H2S는 쌍극자간 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93 ) 3) Cl2, Br2 Cl2는 분산력 < Br2는 분산력 ( 참고 https:/.. 2023. 2. 16. 밀도 0.8794 점도 6.47×10^(-3) poise 벤젠 밀도 0.8794 점도 6.47×10^(-3) poise 벤젠 20℃에서 밀도가 0.8794, 점도가 6.47×10^(-3) poise인 벤젠을 Ostwald 점도계에서 흘린 결과 183초가 걸렸다. 동일한 조건에서 에탄올을 흘린 결과 378초가 걸렸다면 이 화합물의 점도는 얼마인가? 에탄올의 밀도는 0.7893 --------------------------------------------------- η_A / η_B = (t_A × d_A) / (t_B × d_B)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2847 ) > b = 벤젠 > e = 에탄올 η_e / η_b = (t_e × d_e) / (t_b × d_b) η_e = (t_e × d_e) / (t_b × d_b) × η_.. 2022. 12. 22. 오스트발트 점도계로 톨루엔 상대 점도 측정 계산 오스트발트 점도계로 톨루엔 상대 점도 측정 계산 At 20°C, pure water required 102.2 sec to flow the capillary of an Ostwald viscometer, while toluene at 20°C required 68.9 sec. Calculate the relative viscosity of toluene. > density of water = 0.998 g cm^-3 > density of toluene = 0.866 g cm^-3 --------------------------------------------------- η_A / η_B = (t_A × d_A) / (t_B × d_B)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2847.. 2022. 12. 22.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