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11장] 액체와 분자간의 힘116 분자간 힘. Ar Cl2 CH4 CH3COOH 분자간 힘. Ar Cl2 CH4 CH3COOH 분자간 인력의 세기가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하시오. List the substances Ar, Cl2, CH4, and CH3COOH in order of increasing strength of intermolecular attractions. --------------------------------------------------- ▶ 참고: 분자간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Ar, Cl2, CH4 ---> 무극성 분자이므로, 주요 힘은 분산력. ---> 분산력은 몰질량에 비례. ---> Ar = 39.95, Cl2 = 70.. 2023. 6. 10. 분자의 기하구조를 보고 분자간 힘 판단 분자의 기하구조를 보고 분자간 힘 판단 --------------------------------------------------- ▶ 참고: 분자의 화학식으로부터 분자의 기하구조 예측 [ https://ywpop.tistory.com/22206 ] ▶ 참고: 분자간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분자의 기하구조를 그렸다면, C–O와 같이, “서로 다른 원자간 결합” 부분을 본다. [1] 서로 다른 원자간 결합이 존재하면, 극성 결합이 존재한다. 극성 결합이 존재할 때, ① 극성 결합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이다. ---> 무극성 분자. ---> 분자간 힘은 London 분산력. .. 2023. 6. 9. CH3-OH C2H5-OH 수소결합 CH3-OH C2H5-OH 수소결합CH3OH hydrogen bonding. CH3OH hydrogen bond ---------------------------------------------------▶ 참고: 수소결합[ https://ywpop.tistory.com/2593 ]--------------------------------------------------- > 빨간색 점선이 수소결합.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689 ] C2H5OH와 CH3OCH3의 끓는점 비교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9237 ] 다음 중 알코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 [ 관련 글 https://ywpop.t.. 2023. 6. 9. CH3NH2 수소결합 CH3NH2 수소결합CH3NH2 hydrogen bonding. CH3NH2 hydrogen bond ---------------------------------------------------▶ 참고: 수소결합[ https://ywpop.tistory.com/2593 ]--------------------------------------------------- > 빨간색 점선이 수소결합.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2025/01/amine-water-hydrogen-bond.html ]amines can form hydrogen bonds with water [키워드] 아민 물 수소결합 기준, 물 아민 수소결합 기준 2023. 6. 9. 분자간 힘과 물리적 성질 분자간 힘과 물리적 성질 ---------------------------------------------------▶ 참고: 분자간 힘[ https://ywpop.tistory.com/2579 ]--------------------------------------------------- a. 분자간 힘과 녹는점> 분자간 힘과 녹는점은 비례한다.> 녹는다 = 고체가 액체 상태로 변한다.> 고체가 액체 상태로 변하려면,분자간 힘을 극복해야 한다.> 가장 높은 녹는점 = 가장 강한 분자간 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4664 ) b. 분자간 힘과 끓는점> 분자간 힘과 끓는점은 비례한다.> 끓는다 = 액체가 기체 상태로 변한다.> 액체가 기체 상.. 2023. 6. 9. 상 변화와 동반되는 에너지 변화 상 변화와 동반되는 에너지 변화 energy changes associated with changes of state [1] 용융열 또는 융해열과 얼음열 [2] 증발열 또는 기화열과 응축열 [3] 승화열과 증착열 --------------------------------------------------- ▶ 참고: 제11장 액체와 분자간 힘.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74 ] --------------------------------------------------- [1] 용융열 (heat of fusion), ΔH_fus > 녹는점에서, 고체를 액체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 (kJ/mol) 예) 얼음의 용융열, ΔH_fus = +6 kJ/mol * 물의 얼음열 .. 2023. 6. 1. 8.46 kJ이 제거될 때 끓는점에서 응축되는 벤젠의 질량(g) 8.46 kJ이 제거될 때 끓는점에서 응축되는 벤젠의 질량(g) 단, 벤젠의 기화열 = 395 J/g Using the heat of vaporization of benzene, 395 J/g, calculate the grams of benzene that will condense at its boiling point if 8.46 kJ is removed. --------------------------------------------------- q = C m ( 참고: 잠열 https://ywpop.tistory.com/19273 ) m = q / C = 8460 J / (395 J/g) = 21.4177 g 답: 21.4 g [키워드] 벤젠의 기화열 기준문서 2023. 6. 1. 4620 J이 흡수될 때 끓는점에서 증발하는 에탄올의 질량(g) 4620 J이 흡수될 때 끓는점에서 증발하는 에탄올의 질량(g) 단, 에탄올의 기화열 = 841 J/g Using the heat of vaporization of ethanol, 841 J/g, calculate the grams of ethanol that will vaporize at its boiling point if 4620 J is absorbed. --------------------------------------------------- q = C m ( 참고: 잠열 https://ywpop.tistory.com/19273 ) m = q / C = 4620 J / (841 J/g) = 5.49346 g 답: 5.49 g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467.. 2023. 6. 1. 액체의 특별한 성질. 점성도, 표면 장력, 모세관 작용 액체의 특별한 성질. 점성도, 표면 장력, 모세관 작용 --------------------------------------------------- ▶ 참고: 분자간 힘 [ https://ywpop.tistory.com/2579 ] --------------------------------------------------- ▶ 분자간 힘은 온도에 반비례한다. > 온도가 증가할수록, 분자의 운동 에너지는 증가한다. ---> 분자간 거리 증가. > 온도가 증가할수록, 분자간 힘은 감소한다. [1] 점성도. viscosity > 유체(액체, 기체)가 갖는 흐름에 저항하는 힘. > 흐름에 대한 유체의 저항력. > 점성도가 클수록 천천히 흐름. > 점성도는 분자간 힘에 비례. > 분자간 힘이 강할수록, 액체의 점.. 2023. 5. 5. Clausius-Clapeyron. 물의 끓는점 500℃일 때 물의 증기압 Clausius-Clapeyron. 물의 끓는점 500℃일 때 물의 증기압 --------------------------------------------------- > P1 = 1 atm, T1 = 273 + 100℃ = 373 K > P2 = ? atm, T2 = 273 + 500℃ = 773 K > 물의 증발열 = 41 kJ/mol Clausius-Clapeyron 식 ln(P1/P2) = ΔH_vap/R (1/T2 – 1/T1)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33 ) ln(1 / ?) = (41000 / 8.314) (1/773 – 1/373) 1 / ? = e^[(41000 / 8.314) (1/773 – 1/373)] ? = 1 / e^[(41000 / 8.314.. 2023. 4. 18. 이전 1 2 3 4 5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