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진조각1076

대구 달성군 충열공 곽준 신도비 이 비는 1597년 안음현감으로 경남의 황석산성을 사수하다가 순절한 충렬공 곽준의 신도비이다.곽재우의 신도비보다 앞선 현종4년(1663)에 현풍 솔례에 건립하였던 것을 곽재우 선생의 신도비를 건립하면서 이곳으로 옮겨 함께 모셔 놓았다. 이 신도비는 김광현의 전액에 정경세가 찬하였다.[출처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2009. 6. 5.
대구 달성군 추적 신도비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인흥서원내에 소재하며 고려 충렬왕때의 문신으로 안동서기에서 직사관을 거쳐 좌사간을 지내고 민부상서 예문관 제학을 지냈으며 추계 추씨의 중시조인 노당 추적의 신도비로 고종1년(1864)에 세운 것이다.이 신도비의 전액은 춘추관 편수관 파계 유초환이 하였고 홍문관 제학 동양 신석우가 찬하고 규장각 직각 영가 김덕근이 글을 썼는데, 높이 2.1m 폭 82cm, 두께 56cm이고, 이 신도비를 보호하고 있는 비각은 정면, 측면 각 1각의 팔작지붕이다.[출처 : 달성군청] 2009. 6. 5.
대구 달성군 추보당 *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현풍면 대리 667-2번지.* 다음 지도 보기현풍 곽씨(玄風 郭氏)들의 위선재사(爲先齋舍)로서 본당 솔례(率禮) 마을의 뒤편 언덕배기에 위치한 당 건물 중 제일 뒤에 있는 당이다.정면에는 포산고가(苞山古家)란 현판을, 대청 중앙에는 추보당이란 현판을 각각 걸어두었고, 특히 동쪽 문 위에는 청백가성(淸白家聲)이란 현판을, 서쪽 문 위에는 충효세업(忠孝世業)이란 현판이 걸려 있어 포산 곽씨의 가훈으로 내려오고 있다.[출처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 사진에서 보이는 골목길로 올라갑니다.* 주변 문화재 : 현풍곽씨십이정려각 2009. 6. 5.
대구 달성군 척진교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양리 산 139번지.* 다음 지도 보기유가면 양리 부락 앞을 흐르는 개천에 가설된 석교로서 유가사 입구가 되는 곳이며 사찰과는 500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아치형 교항으로 된 석교이며 소박한 솜씨로 된 홍예는 경쾌한 구조미를 나타낸다. 석교 앞에 세워둔 척진교비에 의하면 사찰에서 역사를 했고 정묘년(1747)에 건립된 것으로 되어 있다.[출처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2009. 6. 5.
대구 달성군 진주강씨 모열각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기세리 671-2번지.* 다음 지도 보기옥포면 기세리에 소재하며 진주 강씨의 효행을 표창하여 건립한 비각이다. 40년전 은열공의 맏딸인 강씨 부인이 이웃 마을 기세리에 시집을 갔는데 출가한지 한달만에 남편을 여의고 말았다. 그녀는 죽기전 친척들에게 자기가 죽으면 꼭 남편과 함께 묻어달라고 부탁하였으나 장례는 가례에 따라 다른 산에 별장하고 말았다.그날 저녁 그가 살던 대들보가 무너지고 솔 밑이 깨어지고 소와 돼지 등이 병들어 죽었다. 그해 가을이 되자 흉년이 들었으며 금시에 폐농 직전에 다다랐다. 마을 사람들은 이 지변이 강씨 부인의 소원을 들어주지 않은 때문이라 단정하고 별장한 묘를 합장한 후 성대히 제사를 지내니 이상하게도 산중턱에 서리가 어린 구름이 감돌더니 .. 2009. 6. 5.
대구 달성군 인흥서원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 730번지.* 다음 지도 보기추계추씨(秋溪秋氏)의 시조이며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인 노당(露堂) 추적(秋適)을 봉안한 서원이다. 조선 순조 25년(1825) 10월에 팔도유림과 20대손인 추세문에 의해 창건되었는데 대원군의 서원정리 당시에 화를 면하여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출처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 인흥서원 동재. * 인흥서원 서재. 2009. 6. 5.
대구 달성군 이양서원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2호.*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대리 907-4번지.* 네이버 지도 보기* 다음 지도 보기1707년(숙종 33)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곽안방(郭安邦), 곽지운(郭之雲), 곽규(郭赳), 곽황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던 것을 1954년에는 사당을, 1982년에는 동/서재를 건립하였다. [출처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이양서원 강당. 경무당. * 강당에서 진입로 쪽을 바라본 모습.* 사진에서 보이는 정면 2칸짜리 건물이 동재입니다. * 이 사진에서 (사진 앞쪽부터) 외삼문, 강당, 내삼문, 사당(청백사)을 볼 수 있습니다. 2009. 6. 5.
대구 달성군 이노정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0호*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 443번지* 네이버 지도 보기* 다음 지도 보기정자는 조선 성종때 대유학자인 한훤당 김굉필 선생과 정여창 선생이 무오사화때 화를 입어 연산군 10년(1504)에 이곳에서 상봉하여 시를 읊고 풍류를 즐기면서 석별의 정을 나눈 곳으로 제일강산(第一江山)이라고도 한다.[출처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 이노정 건물 뒤에서 낙동강 쪽을 바라본 모습입니다. 2009. 6. 5.
대구 달성군 유가사 석조여래좌상 * 대구시 유형문화재 제50호.유가사 용화전 전각 안에 모셔져 있는 이 불상은 불상과 대좌가 모두 같은 석질의 화강암으로 조성된 것으로, 얼굴 전면과 양 무릎을 시멘트로 보수하였으나 그 외의 부분은 비교적 옛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높이 솟아 있다.얼굴 모양은 갸름한 달걀형으로 목에 있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는 뚜렷하지 않다. 어깨는 각이 지고 힘이 들어가 있으며, 가슴은 양감있게 돌출되었다. 법의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만을 감싼 우견편단으로, 상반신은 그 유래를 볼 수 없을 정도로 가슴을 크게 열었다. 손 모양은 항마촉지인을 결하였는데 왼손은 길상좌를 하고 있는 오른발 위에 올려놓고 있으.. 2009. 6. 3.
대구 달성군 유가사 부도 * ‘유가사 부도’를 검색하면, ‘유가사 부도’와 ‘유가사 부도군’을 찾을 수 있습니다. * 문화재자료로서 보다 유명한 것(?)은 ‘유가사 부도군’입니다. * ‘유가사 부도군’은 유가사에서 서북쪽으로 20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제가 촬영한 것은 ‘유가사 부도군’이 아니고, * 유가사 입구 쪽에 위치하고 있는 ‘유가사 부도’입니다. 2009.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