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진조각1076 대구 달성군 효부 성주이씨 비각 * 소재지 : 대구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 668-1* 다음 지도 보기* 다음 지도에 표시된 장소에서 도로 건너편 7시 방향에 비각이 있습니다.다사면 매곡리에 소재, 효성이 지극한 성주 이씨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1958년 지방유지들이 뜻을 모아 건립한 비각이다.효부 성주이씨는 평소 남편인 김영근에게 이르기를 "자식으로 부모를 공양할 책임이 장남, 차남 구별이 있겠습니까? 부모를 모시고 와서 당신은 물고기를 잡고 나무를 하고 저는 베를 짜고 방아 품드는 것을 직분으로 삼으면 부모를 봉양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며 반신불구의 시어머니를 45년간이나 성의를 다하여 섬겼다.이후 이씨의 효행은 향토인들의 귀감이 되어 전해지고 있다.[출처 : 달성군] * 비각 위치에서 도로변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입니다. 2009. 6. 19. 대구 달성군 효부 경주김씨 비각 * 소재지 : 대구 달성군 가창면 행정리 321-1* 다음 지도 보기가창면 행정리에 소재하는 비각으로서 김씨는 90노령의 시아버지가 병들자 정성껏 봉양하고 기도하여 지성을 들였으나 낫지 않으므로 병을 구완하기 위하여 눈쌓인 산속을 헤맨 끝에 죽순을 구해 드리고, 얼음속의 잉어를 잡아다 드리니 시아버지가 완쾌되었다.이에 후세 사람들이 김씨를 "효부로 백가지 군자의 행실을 하였다"고 칭송하며 비각을 세웠다.[출처 : 달성군] * 주변 문화재 : 송병규 효자비-바로 길 맞은편에 있습니다. 2009. 6. 19. 대구 달성군 현풍향교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7호.* 소재지 : 대구달성군 현풍면 상리 326-1* 다음 지도 보기 * 현풍향교 입구. 향교 바로 앞에 주차장이 있습니다.* 명륜당. * 대성전.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현풍향교를 처음 지은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옛 교동에 다시 지었고 영조(재위 1724∼1776) 때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지었다. 대성전은 영조 26년(1750)경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동무, 서무,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는 곳이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 2009. 6. 19. 대구 달성군 현풍곽씨 십이정려각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9호.*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현풍면 지리 1348-2* 다음 지도 보기현풍 곽씨 집안의 유교 도덕에 기본이 되는 삼강(三綱)을 지킨 28인의 정려비로, 선조 31년(1598)부터 영조 때(재위 1567∼1608)까지 포상된 12명을 한 곳에 모시고 있다.조선시대에는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인 삼강을 잘 지키면 이를 국가에서 포상하며 기리도록 하였다. 한 마을의 한 성씨(곽씨)에서 12명의 포상자가 나왔다는 것은 흔치 않은 일로서, 정려를 받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임진왜란 때 안음현감 곽준이 황석산성에서 두 아들과 같이 전사하게 되자 며느리와 출가한 딸이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기에 선조가 정려했다.곽재훈의 아들 4형.. 2009. 6. 19. 대구 동구 동화사 금당암 삼층석탑 * 보물 제248호.* 다음 지도 보기동화사 금당암의 극락전 앞에 동·서로 서 있는 2기의 석탑으로, 두 탑 모두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먼저 동쪽의 탑은 2단의 기단 대부분이 나중에 보수된 것이라서 돌을 다룬 수법과 끝맺음 처리 부분에서 조화를 잃어버리고 있다.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따로 새겨 쌓아 올렸으며,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씩 새겨져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앙화(仰花:솟은 연꽃모양의 장식),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차례로 올려져 .. 2009. 6. 18. 대구 달성군 현풍 현감 군수 선정비 *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현풍면 성하리 235-4* 다음 지도 보기* 다음 지도상에서 직사각형 푸른 지붕이 달성군민체육관이며, 이 건물 오른편에 비석들이 있습니다.현풍면 성하리 달성군민체육관 옆에 소재한 이 비군은 1977년 구마고속도로 공사시 성하리 '구쌍산' 일대에 유존했었던 비석들과 구 관아 입구인 현풍면사무소 도로변 속칭 '비석걸이'에 유존했던 비석들을 달성군민 체육관 바로앞 도로변 속칭 '공들고개'에 열지어 옮겨놓아 보존하고 있던 것을 1997년도에 연대별, 관직별로 아래와 같이 1군(순찰사, 관찰사비), 2군(현감비), 3군(군수비), 4군(기타비), 5군(현감비)으로 나누어 이곳에 열비하였다. (총38기)1. 순상국서공휘혜순영세불망비 2. 순상국김공휘도희영세불망비 3. 순상국이공휘근필영세불.. 2009. 6. 18. 대구 동구 독암서당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2호.*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223-3* 다음 지도 보기독암서당은 봉무동 일대에서 세력을 펼치며 살아왔던 경주최씨 문중에서 1865년(고종 2)에 건립하여 집안의 자손들은 물론 인근 주민의 자제들까지 공부시켰던 곳이다. 조선말기 유능한 인재를 많이 길러 낸 향토의 사설 교육기관인 동시에 대구 시내에 현존하는 얼마 남지 않은 서당중 하나이다.서당이름을 독암이라 붙인 것은 서당의 서쪽에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에게 공산싸움에서 패해 혼자 피신해 앉아 있었다는 유명한 독좌암(獨坐巖)이 있어 여기에서 따왔다고 한다.원래 독암서당은 현재의 위치에서 10여m 앞쪽에 있었으나 1973년 도로의 개설로 뒤편으로 옮긴 것으로 동화사와 파계사로 들어가는 갈림길에 못 미쳐 .. 2009. 6. 16. 대구 달성군 현풍 석빙고 * 보물 제673호.*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현풍면 상리 638* 다음 지도 보기* 다음 지도에 나와있는 현풍 석빙고의 위치는 잘못되어 있습니다.* 지도에서 왕릉처럼 생긴 둥근 모양을 찾아보세요.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창고이다.남북으로 길게 축조되어 있으며, 출입구가 개울을 등진 능선 쪽에 마련된 남향구조이다. 돌의 재질은 모두 화강암으로 외부에서 보면 고분처럼 보인다. 입구는 길쭉한 돌을 다듬어 사각의 문틀을 만든 후 외부공기를 막기 위해 돌로 뒷벽을 채웠다. 외부는 돌을 쌓고 점토로 다져서 흙을 쌓아 올렸다. 잘 다듬어진 돌로 벽과 천장을 쌓았는데 천장에는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를 4개 틀어올리고 그 사이사이에 길고 큰 돌을 얹어 아치형을 이루게 하였다. 천장에는 통풍을 위한 환기.. 2009. 6. 16. 대구 달성군 삼가헌 * 중요민속자료 제104호 * 소재지 : 대구 달성군 하빈면 묘리 800충정공 박팽년(1417∼1456)의 자손들이 정착하여 온 박씨마을 묘골과 낮은 산 하나를 경계로 하여 자리잡은 조선시대의 주택이다. 넓은 터에 대문간채·사랑채·안채·별당·연못이 배치되어 있다. 충정공의 11대손인 삼가헌 박성수가 영조 45년(1769)에 사랑채를 짓고 자신의 호를 현판으로 걸어 삼가헌이라 이름지었다. 그 이듬해에는 삼가헌 서쪽편에 별당을 세우고 주변과 연못에 각각 국화와 연꽃을 심은 뒤 하엽정이라 불렀다.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건물이 사랑채이며, 안채는 사랑채를 거쳐야 출입을 할 수 있다. 안채와 사랑채는 대략 트인 ㅁ자형의 구조를 하고 있으며 안채로 드나드는 중문채와 곳간으로 연결이 되어있다. 사랑채는 ㄱ자형 .. 2009. 6. 15. 다사읍 서재리 정열각 * 성주도씨 용호문중 종중유물. 2009. 6. 13. 이전 1 ··· 93 94 95 96 97 98 99 ··· 1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