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기술2471 총고형물 중 유기물질이 90%이고 함수율이 95%인 슬러지 총고형물 중 유기물질이 90%이고 함수율이 95%인 슬러지 총고형물 중 유기물질이 90%이고 함수율이 95%인 슬러지를 하루에 60 m3의 비율로 소화시켜 유기물의 30%가 제거되고, 함수율이 90%인 소화 슬러지를 얻었다. 이때 하루 발생되는 소화 슬러지의 양(m3/day)은 얼마인가? --------------------------------------------------- ▶ 슬러지 = 고형물 + 수분 SL = TS + W ▶ 고형물 = 유기물 + 무기물 TS = VS + FS ( 총고형물 = 고형물 ) ( 참고: 고형물 https://ywpop.tistory.com/9445 ) > 함수율 95% 슬러지(SL) 이므로, ---> 고형물(TS) 5% > 고형물(TS)의 양 = 60 m3 × (5/1.. 2020. 7. 17. 함수율 95% 고형물 중 유기물 60%인 하수슬러지 200 m3 함수율 95% 고형물 중 유기물 60%인 하수슬러지 200 m3 함수율이 95%이고 고형물 중 유기물이 60%인 하수슬러지 200 m3/일을 소화시켜 유기물의 2/3가 분해되고 함수율 85%인 소화슬러지를 얻었다. 소화슬러지의 양은? (단, 슬러지 비중은 1.0) ▶ 슬러지 = 고형물 + 수분 SL = TS + W ▶ 고형물 = 유기물 + 무기물 TS = VS + FS [소화 전] 함수율(수분) 95% 이므로, 고형물은 5% > 고형물의 양 = 200 m3 × (5/100) = 10 m3 > 유기물의 양 = 10 m3 × (60/100) = 6 m3 > 무기물의 양 = 10 – 6 = 4 m3 ( 소화 과정에서 무기물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 [소화 후] 유기물 2/3 분해 이므로, 남아있는 유기물은 .. 2020. 7. 17. 고형분 20% 쓰레기 15 ton을 함수율 40%로 건조 고형분 20% 쓰레기 15 ton을 함수율 40%로 건조 고형분이 20%인 주방 쓰레기 15 ton을 소각하기 위하여함수율이 40%되게 건조시켰다면 이때 무게는 얼마인가? --------------------------------------------------- ▶ 농축, 탈수, 건조 공정의 물질수지W1 (100 - XW1) = W2 (100 - XW2) > W1: 초기 슬러지량(kg)> W2: 농축, 탈수, 건조 후 슬러지량(kg)> XW1: 초기 함수율(%)> XW2: 농축, 탈수, 건조 후 함수율(%) 15 (100 - 80) = W2 (100 - 40)W2 = 15 (100 – 80) / (100 – 40) = 5 ton 답: 5 ton [키워드] 함수율 기준문서 2020. 7. 17. 부피 감소율. 함수율 95% 슬러지를 함수율 91%로 부피 감소율. 함수율 95% 슬러지를 함수율 91%로 함수율 95%의 슬러지를 농축하여 함수율 91%로 하였다.부피 감소율을 구하시오. [참고] 묽힘법칙. M1V1 = M2V2[ https://ywpop.tistory.com/2859 ] 농도1 × V1 = 농도2 × V2> 농도: 고형물의 함량(%)> V: 슬러지의 부피 부피감소율(%) = (V1 – V2) / V1 × 100 “슬러지 = 고형물 + 수분” 이므로,> 함수율 95% 슬러지 = 고형물 5% 슬러지> 함수율 91% 슬러지 = 고형물 9% 슬러지 V1 값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V1 = 1 로 가정하면, V2 = (농도1 × V1) / 농도2= (5 × 1) / 9.. 2020. 7. 17. 과잉공기 기준. C2H4 40 kg 연소 800 kg 공기 공급 ★ 과잉공기 기준. C2H4 40 kg 연소 800 kg 공기 공급 C2H4 40 kg을 연소시키기 위해 800 kg의 공기를 공급하였다.과잉공기 백분율은 약 몇 %인가? [1] 연료의 몰수 계산C2H4의 몰질량 = 2(12) + 4(1) = 28 g/mol 이므로,40 kg / (28 g/mol) = 1.4286 kmol C2H4(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 화학량론적 산소 기체의 몰수 계산균형 맞춘 반응식C2H4 + 3O2 → 2CO2 + 2H2O C2H4 : O2 = 1 : 3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C2H4 : O2 = 1 : 3 = 1.4286 kmol : ? kmol ? = 3 × 1.4286 = 4.2858.. 2020. 6. 24. PV는 일정. 1기압 2 L 기체를 4기압으로. 부피는 PV는 일정. 1기압 2 L 기체를 4기압으로. 부피는 1기압에서 2 L의 부피를 차지하는 어떤 이상기체를 온도의 변화 없이 압력을 4기압을 하면 부피는 얼마가 되겠는가? --------------------------------------------------- PV = P’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7 ) V’ = PV / P’ = (1) (2) / (4) = 0.5 L 답: 0.5 L 2020. 6. 10. 산소 50 wt%, 황 50 wt% 물질의 실험식 산소 50 wt%, 황 50 wt% 물질의 실험식 어떤 물질이 산소 50wt%, 황 50wt%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물질의 실험식은? 어떤 물질이 산소 50Wt%, 황 50Wt% 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물질의 실험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① SO ② SO2 ③ SO3 ④ SO4 --------------------------------------------------- ▶ 참고: 원소분석 [ https://ywpop.tistory.com/64 ] --------------------------------------------------- 시료의 질량 = 100 g 이라 가정하면, 각 성분의 함량(%) = 질량(g) 각 성분의 몰수를 계산하면, O의 몰수 = 50 g / (16 g/mol) = 3.125 .. 2020. 6. 5. 금속 1.0 g을 묽은 황산에 넣었더니 560 mL 수소 발생 금속 1.0 g을 묽은 황산에 넣었더니 560 mL 수소 발생 어떤 금속 1.0 g을 묽은 황산에 넣었더니 표준상태에서 560 mL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는 얼마인가? (단, 금속의 원자량은 40) 어떤 금속 1.0g 을 묽은 황산에 넣었더니 표준상태에서 560 mL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는 얼마인가? (단, 금속의 원자량은 40 으로 가정한다.) ① 1가 ② 2가 ③ 3가 ④ 4가 --------------------------------------------------- xM + 2H^+ → M^y+ + H2 xM(s) + 2H^+(aq) → M^y+(aq) + H2(g) 표준상태 ≒ STP 이면, 0.560 L × (1 mol / 22.4 L) = 0.025 mol .. 2020. 5. 30. 100℃ 포화용액(비중 1.4) 100 mL를 20℃ 포화용액으로 100℃ 포화용액(비중 1.4) 100 mL를 20℃ 포화용액으로 100℃ 포화용액(비중 1.4) 100 mL를 20℃ 포화용액으로 만들려면 몇 g의 물을 가해야 하는가? 단, 100℃ 용해도 180, 20℃ 용해도 100. 다음의 그래프는 어떤 고체물질의 용해도 곡선이다. 100℃ 포화용액(비중 1.4) 100mL 를 20℃ 의 포화 용액으로 만들려면 몇 g 의 물을 더 가해야 하는가? ① 20g ② 40g ③ 60g ④ 80g --------------------------------------------------- ▶ 참고: 고체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7320 ] --------------------------------------------------- 10.. 2020. 5. 27. 물 25.2 g에 4.57 g 글루코오스가 녹아있는 용액의 몰랄농도 물 25.2 g에 4.57 g 글루코오스가 녹아있는 용액의 몰랄농도 글루코오스(C6H12O6)는 당으로 혈액 속에서 발견되기 때문에혈당이라고 하며 인체의 주요 에너지원이다.물 25.2 g에 4.57 g의 글루코오스가 녹아있는용액의 몰랄농도는 얼마인가? 물 25.2 g에 글루코오스(C6H12O6)가4.57 g 녹아있는 용액의 몰랄농도(m)는? C6H12O6의 몰질량 = 180.16 g/mol 이므로,4.57 g / (180.16 g/mol) = 0.025366 mol C6H12O6(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 0.. 2020. 5. 20. 이전 1 ··· 217 218 219 220 221 222 223 ··· 2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