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기술/위험물기사549 나이트로글리세린 1 kg-mol 분해 폭발 기체 부피(m3) 나이트로글리세린 1 kg-mol 분해 폭발 기체 부피(m3) 나이트로글리세린이 분해 폭발하여 이산화탄소, 수증기, 질소, 산소를 발생한다. 나이트로글리세린 1 kg-mol이 분해 폭발 시, 생성되는 기체의 총 부피(m3)를 구하시오. 단, 표준상태 기준. --------------------------------------------------- 1 kg-mol = 1 kmol = 1000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008 ) 나이트로글리세린 분해 반응식 4C3H5(ONO2)3 → O2 + 6N2 + 10H2O + 12CO2 4 mol C3H5(ONO2)3 분해 시, (1 + 6 + 10 + 12) = 29 mol 기체가 생성되므로, 1000 mol C3H5(ONO2.. 2023. 5. 9. 수소화나트륨 240 g과 충분한 물이 완전히 반응 수소의 부피 수소화나트륨 240 g과 충분한 물이 완전히 반응 수소의 부피 수소화나트륨 240 g과 충분한 물이 완전히 반응하였을 때 발생하는 수소의 부피는? 단, 표준상태 가정, 나트륨의 원자량은 23. --------------------------------------------------- 240 g NaH의 몰수를 계산하면, 240 g / (24 g/mol) = 10 mol Na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NaH + H2O → NaOH + H2 NaH : H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10 mol NaH 반응 시, 10 mol H2 생성(발생). 표준상태에서, 기체 1 mol = 22.4 L 이므로, ( 참고: 몰부피 https://ywpop.ti.. 2023. 3. 12. 르 샤틀리에 N2(g) + 3H2(g) ⇌ 2NH3(g). 압력 효과 ★★ 르 샤틀리에 N2(g) + 3H2(g) ⇌ 2NH3(g). 압력 효과 다음의 평형계에서 압력을 증가시키면 반응에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가? N2(g) + 3H2(g) ⇌ 2NH3(g) --------------------------------------------------- ▶ 참고: 르샤틀리에의 원리 [ https://ywpop.tistory.com/2685 ] --------------------------------------------------- 압력을 증가시키면, 이것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즉 압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반응이 일어난다. 기체의 압력은 기체의 몰수에 비례하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91 ) 기체의 몰수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2023. 3. 1. 산성 용액에서 KMnO4(분자량 158)의 1 g당량 산성 용액에서 KMnO4(분자량 158)의 1 g당량 KMnO4(분자량 158)의 산화제로서의 1 g당량은 산성 용액에서 다음중 어느 것인가? ① 31.6 ② 52.7 ③ 158 ④ 316 --------------------------------------------------- 산성 용액에서, KMnO4의 당량수 = 5 eq/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95 ) KMnO4의 몰질량 = 158.03 g/mol 이므로, g당량수를 계산하면, (158.03 g/mol) / (5 eq/mol) = 31.6 g/eq g당량수 ≡ g당량 ≡ 1 g당량 ---> 숫자 값은 같고, 단위만 g을 사용.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945 ) 답: ① .. 2023. 1. 26. 나트륨 46 g 수분 유입 2 L 30℃ 압력은 나트륨 46 g 수분 유입 2 L 30℃ 압력은 보호액 속에 나트륨 46 g을 저장하다 수분이 유입되어 가스가 발생하였다. 용기의 용적은 2 L일 때, 이 기체의 온도가 30℃이었다. 압력은 얼마인가? --------------------------------------------------- Na의 몰질량 = 22.99 g/mol 이므로, 46 g / (22.99 g/mol) = 2.0 mol Na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Na(s) + 2H2O(l) → 2NaOH(aq) + H2(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643 ) Na : H2 = 2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2.0 mol Na 반응 시, 1.0 mol H2.. 2022. 10. 23. 0℃ 1기압 질산칼륨 202 g 열분해 시 생성되는 산소(L) 0℃ 1기압 질산칼륨 202 g 열분해 시 생성되는 산소(L) 0℃, 1기압에서 질산칼륨 202 g이 열분해할 때 생성되는 산소는 몇 리터인가? --------------------------------------------------- KNO3의 몰질량 = 101.1032 ≒ 101 g/mol 이므로, 202 g / (101 g/mol) = 2 mol KNO3 질산칼륨 열분해 반응식 2KNO3 → 2KNO2 + O2 KNO3 : O2 = 2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KNO3 : O2 = 2 : 1 = 2 mol : ? mol ? = 1 mol O2 STP 조건에서, 기체 1 mol = 22.4 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답: 22.4 L .. 2022. 8. 13. CHO 원소분석. C 54.55%, H 9.10%, O 36.35% 1 g 0.17 L CHO 원소분석. C 54.55%, H 9.10%, O 36.35% 1 g 0.17 L 어떤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질량비가 탄소 54.55%, 수소 9.10%, 산소 36.35% 이고, 이 화합물 1 g은 표준상태에서 0.17 L라면 이 화합물의 분자식은? --------------------------------------------------- ▶ 참고: 원소분석 [ https://ywpop.tistory.com/64 ] ▶ 참고: CHO 연소분석 [ https://ywpop.tistory.com/2854 ] --------------------------------------------------- 각 성분의 몰수를 계산하면, > C의 몰수 = 54.55 / 12 = 4.546 mol > H의 몰수.. 2022. 6. 18. 평형상태에서 NO2의 부분압력은 0.15 atm 평형상태에서 NO2의 부분압력은 0.15 atm 25℃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날 때 평형상태에서 NO2의 부분압력은 0.15 atm이다. 혼합물 중 N2O4의 부분압력은 약 몇 atm인가? (단, 평형상수 Kp는 7.13이다.) 25℃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날 때 평형상태에서 NO2의 부분압력은 0.15atm이다. 혼합물 중 N2O4의 부분압력은 약 몇 atm 인가? (단, 압력평형상수 KP는 7.13이다.) 2NO2(g) ⇌ N2O4(g) ① 0.08 ② 0.16 ③ 0.32 ④ 0.64 --------------------------------------------------- 2NO2(g) ⇌ N2O4(g) 반응의 평형상수를 나타내면, Kp = (P_N2O4) / (P_NO2)^2 ( 참.. 2022. 3. 22. pH 4 용액을 1000배 희석시킨 용액의 pH pH 4 용액을 1000배 희석시킨 용액의 pH 어떤 용액의 pH를 측정하였더니 4이었다.이 용액을 1000배 희석시킨 용액의 pH를 옳게 나타낸 것은? [간단한 해석]pH는 log 함수이므로,1000배, 즉 10^3 배 만큼의 농도 차이는pH 3만큼 차이나므로,log(10^3) = 3 4 + 3 = 7---> 답은 숫자 7(또는 7과 가까운)을 포함해야 된다. [힘들게 하는 해석]1000배 희석이란pH 4인 용액 1 mL와증류수(= pH 7) 999 mL를 혼합한 경우이므로,( 참고: 희석배율 https://ywpop.tistory.com/4473 ) 희석한 용액의 [H^+]를 계산하면,[H^+] = [(10^(-4) M × 1 mL) + (10^(-7) .. 2022. 3. 22. 다음 중 산화-환원 반응이 아닌 것 다음 중 산화-환원 반응이 아닌 것 다음 중 산화-환원 반응이 아닌 것은?① Cu + 2H2SO4 → CuSO4 + 2H2O + SO2② H2S + I2 → 2HI + S③ Zn + CuSO4 → ZnSO4 + Cu④ HCl + NaOH → NaCl + H2O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반응 전/후 산화수가 변한 원자가 있으면,산화-환원 반응이므로,원소/화합물 속 각 원자의 산화수를 계산해보면 된다. 또는원소인 원자의 산.. 2022. 2. 28. 이전 1 2 3 4 5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