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수질환경기사315

트리할로메탄(THM)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트리할로메탄(THM)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트리할로메탄(THM)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일정 기준 이상의 염소를 주입하면 THM의 농도는 급감한다. ② pH가 증가할수록 THM의 생성량은 증가한다. ③ 온도가 증가할수록 THM의 생성량은 증가한다. ④ 수돗물에 생성된 트리할로메탄류는 대부분 클로로포름으로 존재한다. [반응 1] Cl2(l) + H2O(l) ⇌ HOCl(aq) + H^+(aq) + Cl^-(aq) [반응 2] Cl^-(aq) + 부식질 → THM ( HOCl(aq) + 유기물 → THM ) > 반응 1에 의해, Cl^-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면, 반응 2에 의해, THM의 농도(생성량)가 증가한다. Cl2 + H2O ⇌ HOCl + H^+ + Cl^- 평형 반응에서, 정반응을 .. 2024. 2. 6.
유량 3000 m3/일 BOD농도 400 mg/L 활성슬러지법 내생호흡율 유량 3000 m3/일 BOD농도 400 mg/L 활성슬러지법 내생호흡율 유량 3000 m3/일 BOD농도 400 mg/L 활성슬러지법 내호흡율 유량이 3000 m3/day, BOD 농도가 400 mg/L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할 때 내생호흡율(Kd, /day)은? (단, 포기시간=8시간, 처리수농도(BOD=30 mg/L, SS=30 mg/L), MLSS농도=4000 mg/L, 잉여슬러지 발생량=50 m3/일, 잉여슬러지 농도=0.9%, 세포증식계수=0.8) 유량이 3000m3/, BOD 농도가 400mg/L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할 때 내생호흡율(Kd, /day)은? (단, 포기시간= 8시간, 처리수농도(BOD=30mg/L, SS=30mg/L), MLSS농도=4000mg/L, 잉여슬러지 .. 2024. 2. 5.
유량 4000 m3 부유물질 농도 220 mg/L 하수 처리 유량 4000 m3 부유물질 농도 220 mg/L 하수 처리 유량 4000 m3, 부유물질 농도 220 mg/L인 하수를 처리하는 일차 침전지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양은 얼마인가? 단, 슬러지 비중 1.03, 함수율 94%, 일차 침전지 체류시간 2시간, 부유물질 제거효율 60%,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 환산 인자 > 1 g = 1000 mg > 1 m3 = 1000 L > 1 L = 1000 mL > 1 m3 = 10^6 mL 단위 소거법(환산 인자) 대신,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21 ) 하나씩 순차적으로 계산해보면... 1차 침전지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의 양 = (220 mg/L) (1 g / 1000 mg) (1000 L / 1 m3) (.. 2024. 2. 3.
염농도 0.1 g/L인 4 m3/s 물이 필요 500 ppm 50 ppm 염농도 0.1 g/L인 4 m3/s 물이 필요 500 ppm 50 ppm 염농도가 0.1 g/L인 4 m3/s의 물이 필요하다. 취수원으로 두 개의 저수지가 있다. 저수지 A의 농도는 500 ppm, B의 농도는 50 ppm이다. 각 저수지에서 취수할 수 있는 유량은 얼마인가? --------------------------------------------------- = 0.44 m3/s ---> 취수할 수 있는 저수지 A의 유량 = 3.56 m3/s ---> 취수할 수 있는 저수지 B의 유량 [Blogger 블로그스팟] [ https://ywpop.blogspot.com/2023/09/01-gl-4-m3s-500-ppm-50-ppm.html ] [키워드] 합류 지점의 BOD 기준, 혼합 BOD 기준,.. 2023. 9. 14.
NaOH 1% 함유 60 m3 폐수를 HCl 36% 수용액으로 중화 NaOH 1% 함유 60 m3 폐수를 HCl 36% 수용액으로 중화 NaOH를 1% 함유하고 있는 60 m3의 폐수를 HCl 36% 수용액으로 중화하려할 때 소요되는 HCl 수용액의 양(kg)은? ① 1102.46 ② 1303.57 ③ 1520.83 ④ 1601.57 --------------------------------------------------- 폐수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면, 1 g/mL = 1000 kg/m3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937 ) 60 m3 폐수의 질량을 계산하면, (60 m3) (1000 kg/m3) = 60000 kg 폐수 60000 kg 폐수 속 NaOH의 질량 = 60000 kg × (1/100) = 600 kg .. 2023. 8. 1.
150 kL/day 분뇨 포기로 BOD 20% 제거 공기공급량 40 m3 150 kL/day 분뇨 포기로 BOD 20% 제거 공기공급량 40 m3 150 kL/day의 분뇨를 산기관을 이용하여 포기 하였더니 BOD의 20%가 제거되었다. BOD 1 kg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공기공급량이 40 m3 이라 했을 때 하루당 공기공급량(m3)은? (단, 연속포기, 분뇨의 BOD = 20,000 mg/L) ① 2,400 ② 12,000 ③ 24,000 ④ 36,000 --------------------------------------------------- 하루당 공기공급량(m3)은? ---> 하루당 (포기할) 분뇨의 양은? = 150 kL 150 kL 분뇨 속 BOD를 계산하면, 150000 L × (20000 mg/L) = 3×10^9 mg 제거한 BOD를 계산하면, 3×10^9 .. 2023. 8. 1.
물 5 m3 DO 9.0 mg/L 산소 제거에 필요한 아황산나트륨 물 5 m3 DO 9.0 mg/L 산소 제거에 필요한 아황산나트륨 물 5 m3 DO 9.0 mg/L 산소 제거에 필요한 Na2SO3 물 5 m3의 DO가 9.0 mg/L이다. 이 산소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아황산나트륨의 양(g)은? ① 256.5 ② 354.7 ③ 452.6 ④ 488.8 --------------------------------------------------- 물 5 m3 속 산소의 질량을 계산하면, (9.0 mg/L) (1000 L / 1 m3) (5 m3) = (9.0) (1000) (5) = 45000 mg O2 = 45 g O2 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 45 g O2의 몰수를 계산하면, 45 g / (32 g/mol) = 1.406 mol O2 ( 참고 htt.. 2023. 7. 31.
K = BODu/BOD5 = 1.5 일 때, NBDCOD 계산 K = BODu/BOD5 = 1.5 일 때, NBDCOD 계산 공장의 COD가 5000 mg/L, BOD5가 2100 mg/L이었다면 이 공장의 NBDCOD(mg/L)는? (단, K = BODu/BOD5 = 1.5) ① 1850 ② 1550 ③ 1450 ④ 1250 --------------------------------------------------- ▶ NBDCOD = COD – BDCOD > BDCOD = BODu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3762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100 ) K = BODu/BOD5 = 1.5 로 주어졌기에, BODu = 1.5 × BOD5 = 1.5 × 2100 = 3150 mg/L = BDCOD N.. 2023. 7. 31.
NBDCOD. BOD5 400 mg/L, COD 1000 mg/L NBDCOD. BOD5 400 mg/L, COD 1000 mg/L K1(탈산소계수, base = 상용대수)가 0.1 /day인 어느 물질의 BOD5 = 400 mg/L이고, COD = 1000 mg/L라면 NBDCOD(mg/L)는? (단, BDCOD = BODu) 가. 345 나. 385 다. 415 라. 465 --------------------------------------------------- COD = BDCOD + NBDCOD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100 ) NBDCOD = COD – BDCOD > NBDCOD: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 BOD_t = BOD_u [1 – 10^(–k×t)] ( 상용대수이면 10을 적용, 자연대수이면 e를 적용 .. 2023. 7. 31.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 BOD5 270 mg/L, COD 350 mg/L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 BOD5 270 mg/L, COD 350 mg/L BOD5가 270 mg/L이고, COD가 350 mg/L인 경우, 탈산소계수(K1)의 값이 0.2 /day이라면, 이 때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는? (단, BDCOD = BODu, 상용대수 기준) ① 50 mg/L ② 80 mg/L ③ 120 mg/L ④ 180 mg/L --------------------------------------------------- COD = BDCOD + NBDCOD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100 ) NBDCOD = COD – BDCOD > NBDCOD: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COD BOD_t = BOD_u [1 – 10^(–k×t)] .. 2023. 7.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