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가스기사200

탄소 1 kg 이론공기량 완전연소 발생 연소가스량(Nm3) 탄소 1 kg 이론공기량 완전연소 발생 연소가스량(Nm3)     탄소 1 kg을 이론공기량으로 완전 연소시켰을 때발생되는 연소가스량은 약 몇 Nm3인가?     40. 탄소 1kg을 이론공기량으로 완전 연소시켰을 때 발생되는 연소가스양은 약 몇 Nm3 인가?① 8.9② 10.8③ 11.2④ 22.4   ------------------------   탄소, C의 몰질량 = 12 g/mol 이므로,탄소 1 kg(= 1000 g)의 몰수= 1000 g / (12 g/mol)= 83.33 mol C       탄소 연소 반응식C + O2 → CO2       C : O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83.33 mol C 연소에 필요한O2의 몰수 = 83.33 mol       기체.. 2025. 1. 13.
CH4 연소열(kJ). CH4, CO2, H2O 생성열 75, 394, 242 kJ/mol CH4 연소열(kJ). CH4, CO2, H2O 생성열 75, 394, 242 kJ/mol     CH4, CO2, H2O의 생성열이 각각75 kJ/mol, 394 kJ/mol, 242 kJ/mol 일 때CH4의 완전 연소 발열량은 약 몇 kJ 인가?     30. CH4, CO2, H2O 의 생성열이 각각 75 kJ/kmol, 394 kJ/kmol, 242 kJ/kmol 일 때 CH4 의 완전 연소 발열량은 약 몇 kJ 인가?① 803② 786③ 711④ 636   ------------------------   CH4 연소 반응식CH4(g) + 2O2(g) → CO2(g) + 2H2O(l)   또는CH4(g) + 2O2(g) → CO2(g) + 2H2O(g)( 이 예제에선, H2O(l)인지 H2O.. 2025. 1. 12.
시료액체의 밀도. 측정용기 11.6125 g, 증류수 13.1682 g, 시료 12.8749 g 시료액체의 밀도. 측정용기 11.6125 g, 증류수 13.1682 g, 시료 12.8749 g     20℃에서 어떤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였다.측정용기의 무게가 11.6125 g,증류수를 채웠을 때가 13.1682 g,시료 용액을 채웠을 때가 12.8749 g이라면이 시료 액체의 밀도는 약 몇 g/cm3인가?(단, 20℃에서 물의 밀도는 0.99823 g/cm3이다.)     85. 20℃에서 어떤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용기의 무게가 11.6125 g, 증류수를 채웠을때가 13.1682g, 시료 용액을 채웠을 때가 12.8749g 이라면 이 시료액체의 밀도는 약 몇 g/cm3 인가? (단, 20℃에서 물의 밀도는 0.99823 g/cm3 이다.)① 0.791② 0.801③ 0.810④ 0... 2025. 1. 12.
액화 프로판(액 밀도 0.5 kg/L) 15 L 대기 방출 몇 L 기체 액화 프로판(액 밀도 0.5 kg/L) 15 L 대기 방출 몇 L 기체     액화 프로판 15 L를 대기 중에 방출하였을 경우약 몇 L의 기체가 되는가?(단, 액화 프로판의 액 밀도는 0.5 kg/L이다.)① 300 L② 750 L③ 1500 L④ 3800 L   ------------------------   액화 프로판 15 L의 질량을 계산하면,(15 L) (0.5 kg/L) (1000 g / 1 kg)= (15) (0.5) (1000)= 7500 g       C3H8의 몰질량 = 3(12) + 8(1) = 44 g/mol 이므로,7500 g 프로판의 몰수를 계산하면,(7500 g) (1 mol / 44 g)= 170.45 mol       표준상태에서, 기체 1 mol = 22.4 L.. 2025. 1. 12.
5 L 용기 9기압 기체와 10 L 용기 6기압 기체 연결 후 압력 5 L 용기 9기압 기체와 10 L 용기 6기압 기체 연결 후 압력     5 L들이 용기에 9기압의 기체가 들어있다. 또 다른 10 L들이 용기에 6기압의 같은 기체가 들어있다. 이 용기를 연결하여 양쪽의 기체가 서로 섞여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기체의 압력은 약 몇 기압이 되는가?① 6.5기압② 7.0기압③ 7.5기압④ 8.0기압   ------------------------   보일의 법칙PV = 일정 또는PV = k (상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7 )       P1V1 + P2V2 = P3V3   V3 = V1 + 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9175 )       P3 = (P1V1 + P2V2) / V3= (9×5.. 2025. 1. 12.
100℃, 2기압의 이상기체 밀도는 200℃, 1기압의 몇 배인가 100℃, 2기압의 이상기체 밀도는 200℃, 1기압의 몇 배인가     100℃, 2기압의 어떤 이상기체의 밀도는200℃, 1기압일 때의 몇 배인가?     2. 100℃, 2기압의 어떤 이상기체의 밀도는 200℃, 1기압일 때의 몇 배인가?① 0.39② 1③ 2④ 2.54   ------------------------   d = P / RT(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1198 )   ---> d ∝ P / T       (2 / (273 + 100)) / (1 / (273 + 200))= 2.54       답: ④ 2.54         [키워드] 이상기체의 밀도 기준 2025. 1. 11.
머무른 시간 407초, 길이 12.2 m 컬럼 띠너비 바닥 13초 단높이 mm 머무른 시간 407초, 길이 12.2 m 컬럼 띠너비 바닥 13초 단높이 mm     머무른 시간 407초, 길이 12.2 m인 컬럼에서의띠너비를 바닥에서 측정하였을 때 13초이었다.이때 단높이는 몇 mm인가?     99. 머무른 시간 407초, 길이 12.2m인 컬럼에서의 띠너비를 바닥에서 측정하였을 때 13초이었다. 이 때 단높이는 몇 mm인가?① 0.58② 0.68③ 0.78④ 0.88   ------------------------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단높이 H이론단 해당높이, HETP(Height Equivalent to a Theoretical Plate, HETP)HETP = L / N> L: 컬럼의 길이> N: 이론단수 (Number of Theoretical Plates)    .. 2025. 1. 11.
100 kPa 30℃ 질소(R = 0.26 kJ/kg•K)의 밀도(kg/m3) 100 kPa 30℃ 질소(R = 0.26 kJ/kg•K)의 밀도(kg/m3)     압력이 100 kPa이고 온도가 30℃인질소(R = 0.26 kJ/kg·K)의 밀도(kg/m3)는?     19. 압력이 100 kPa 이고 온도가 30℃인 질소(R = 0.26 kJ/kg·K)의 밀도(kg/m3)는?① 1.02② 1.27③ 1.42④ 1.64   ------------------------   밀도 = 질량 / 부피 이고,( d = W / V )   n = W / M 이고,(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PV = nRT 이므로,   n / V = P / RT   (W / M) / V = P / RT   d = W / V = PM / RT---> R이 일반 기체.. 2025. 1. 11.
에틸렌(Ethylene) 1 Sm3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양 에틸렌(Ethylene) 1 Sm3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양     에틸렌(Ethylene) 1 Sm3을 완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공기의 양은 약 몇 Sm3인가?(단, 공기 중의 산소 및 질소의 함량 21v%, 79v%이다.)     23. 에틸렌(Ethylene) 1Sm3을 완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공기의 양은 약 몇 Sm3 인가? (단, 공기 중의 산소 및 질소의 함량 21v%, 79v% 이다.)① 9.5② 11.9③ 14.3④ 19.0   ------------------------   에틸렌 연소 반응식C2H4 + 3O2 → 2CO2 + 2H2O       C2H4 : O2 = 1 : 3 계수비(= 부피비) 이므로,에틸렌 1 Sm3 연소에 필요한 O2의 부피를 계산하면,C2H4 : O2.. 2025. 1. 10.
수면에서 2 m 깊이 지점에서 받는 절대압력(kgf/cm2) 수면에서 2 m 깊이 지점에서 받는 절대압력(kgf/cm2)     표준대기에 개방된 탱크에 물이 채워져 있다.수면에서 2 m 깊이의 지점에서 받는절대압력은 몇 kgf/cm2인가?     10. 표준대기에 개방된 탱크에 물이 채워져 있다. 수면에서 2m 깊이의 지점에서 받는 절대압력은 몇 kgf/cm2 인가?① 0.03② 1.033③ 1.23④ 1.92   ------------------------   표준대기---> 대기압 = 1 atm = 101325 Pa       정수압, P = ρgh(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902 )   = (1000 kg/m3) (9.8 m/s2) (2 m)= (1000) (9.8) (2)= 19600 kg/m•s2= 19600 Pa.. 2025.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