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redox. 2HI + H2O2 → I2 + 2H2O
redox. H2O2 + 2HI → I2 + 2H2O
------------------------
▶ 산화: HI → I2
> I의 산화수는 –1에서 0으로 증가, HI는 산화됨.
> HI는 환원제.
( 참고: HI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9662 )
▶ 환원: H2O2 → H2O
> O의 산화수는 –1에서 –2로 감소, H2O2는 환원됨.
> H2O2는 산화제.
( 참고: H2O2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8482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1243 ]
redox balance. HI + H2O2 → I2 + H2O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703 ] H2O2는 환원제
redox balance. MnO4^- + H2O2 → Mn^2+ + O2
[키워드] 산화제와 환원제 기준, H2O2의 산화-환원 반응 기준, redox H2O2 + HI, redox HI + H2O2, H2O2는 산화제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04장] 수용액 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S4O6^2-의 산화수. tetrathionate anion의 산화수 (2) | 2018.02.19 |
---|---|
PbSO4의 산화수 (0) | 2018.02.18 |
SO4^2-의 산화수. 황산이온의 산화수. 황의 산화수 (0) | 2018.02.18 |
H2O2의 산화수 (0) | 2018.01.24 |
Na2SO4의 산화수, K2SO4의 산화수 (0) | 2018.01.12 |
CuCl2의 산화수. CuCl의 산화수 (0) | 2018.01.12 |
알짜이온반응식. Na2SO4 + Pb(NO3)2. PbSO4 침전 반응 (0) | 2017.12.31 |
프탈산수소포타슘(KHP) 0.50 g과 NaOH 용액 25.0 mL (0) | 2017.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