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14장] 화학반응 속도론

정상상태. A → B → C

by 영원파란 2025. 2. 13.

AdSense@ywpop

728x170

정상상태. A → B → C

 

 

다음에 주어진 반응을 정상상태(steady-state)라 가정할 때,

B의 농도에 대한 관계식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정류상태 근사법 steady-state approximation

 

 

 

▶ 정류상태 근사법. steady-state approximation

( 정상상태 근사법. steady-state approximation )

> 중간체의 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또는,

> 중간체의 생성속도와 소모속도는 같다고 가정한다.

( 참고: 중간체 https://ywpop.tistory.com/24538 )

 

 

 

A → B → C 반응에서,

B가 중간체.

 

 

 

A → B 반응의 속도 식(속도 법칙)

v = k_1 [A] ... (1)

( 중간체의 생성속도 )

( 참고: 속도 법칙 https://ywpop.tistory.com/30 )

 

 

 

B → C 반응의 속도 식

v = k_2 [B] ... (2)

( 중간체의 소모속도 )

 

 

 

(1) = (2) 이므로,

k_1 [A] = k_2 [B]

( 중간체의, 생성속도 = 소모속도 )

 

 

 

[B]에 대해 정리하면,

[B] = (k_1 / k_2) [A]

 

 

 

 

[참고] 중간체의 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 중간체의 농도 변화는 0이다.

---> d[B] / dt = 0

 

 

 

 

[키워드] 정상 상태 기준, 정류 상태 기준, 정상 상태 근사법 기준, 정류 상태 근사법 기준, 정상 상태 사전, 정류 상태 사전, 정상 상태 근사법 사전, 정류 상태 근사법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