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상태. A → B → C
다음에 주어진 반응을 정상상태(steady-state)라 가정할 때,
B의 농도에 대한 관계식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 정류상태 근사법. steady-state approximation
( 정상상태 근사법. steady-state approximation )
> 중간체의 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또는,
> 중간체의 생성속도와 소모속도는 같다고 가정한다.
( 참고: 중간체 https://ywpop.tistory.com/24538 )
A → B → C 반응에서,
B가 중간체.
A → B 반응의 속도 식(속도 법칙)
v = k_1 [A] ... (1)
( 중간체의 생성속도 )
( 참고: 속도 법칙 https://ywpop.tistory.com/30 )
B → C 반응의 속도 식
v = k_2 [B] ... (2)
( 중간체의 소모속도 )
(1) = (2) 이므로,
k_1 [A] = k_2 [B]
( 중간체의, 생성속도 = 소모속도 )
[B]에 대해 정리하면,
[B] = (k_1 / k_2) [A]
[참고] 중간체의 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 중간체의 농도 변화는 0이다.
---> d[B] / dt = 0
[키워드] 정상 상태 기준, 정류 상태 기준, 정상 상태 근사법 기준, 정류 상태 근사법 기준, 정상 상태 사전, 정류 상태 사전, 정상 상태 근사법 사전, 정류 상태 근사법 사전
'일반화학 > [14장] 화학반응 속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돌 이론. 충돌 모형. 온도 증가 시 (2) | 2025.01.31 |
---|---|
2N2O5(g) → 2N2O4(g) + O2(g) 반응의 활성화에너지 계산 (0) | 2024.10.28 |
화학 반응 속도의 범위. reaction rates time scales (0) | 2024.10.24 |
2HI(g) → H2(g) + I2(g) 410℃ 반응 차수 속도 상수 (0) | 2024.10.14 |
gas-phase reaction at 290℃ ClCO2CCl3(g) → 2COCl2(g) (1) | 2024.10.12 |
C2H5I(g) → C2H4(g) + HI(g) 반응 차수와 속도 상수 (1) | 2024.10.10 |
물질 A가 일차 반응으로 세 번의 반감기 후 10.0 g (4) | 2024.10.09 |
2NO(g) + 2H2(g) → N2(g) + 2H2O(g) 6.0×10^4 M^-2 s^-1 (0) | 2024.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