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 이론. 충돌 모형. 온도 증가 시
In the collision model, which factor is most sensitive to changes in temperature?
> The fraction of molecules with energy greater than the activation energy.
> The frequency of collisions that occur between reactant molecules.
> The orientation factor for a given reactant molecule.
> The magnitude of the activation energy for a given reaction.
> I am unsure and need to study this concept to prepare for the exam
------------------------
[참고] 충돌 이론
[ https://ywpop.tistory.com/7371 ]
온도 증가이므로,
답: > The fraction of molecules with energy greater than the activation energy.
( 참고 https://courses.lumenlearning.com/suny-albany-chemistry/chapter/collision-theory/ )
---> 그림 4 참고.
만약 농도 증가 또는 압력 증가라면, 답은
> The frequency of collisions that occur between reactant molecules.
( 참고 https://www.chemistrystudent.com/collisiontheory.html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5 ]
활성화 에너지 (activation energy, Ea)
[키워드] 충돌 이론 기준, 충돌 모형 기준, 충돌 모델 기준, 충돌 이론 사전, 충돌 모형 사전, 충돌 모델 사전, 충돌 이론과 온도 기준, 충돌 모형과 온도 기준, 충돌 모델과 온도 기준
'일반화학 > [14장] 화학반응 속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N2O5(g) → 2N2O4(g) + O2(g) 반응의 활성화에너지 계산 (0) | 2024.10.28 |
---|---|
화학 반응 속도의 범위. reaction rates time scales (0) | 2024.10.24 |
2HI(g) → H2(g) + I2(g) 410℃ 반응 차수 속도 상수 (0) | 2024.10.14 |
gas-phase reaction at 290℃ ClCO2CCl3(g) → 2COCl2(g) (1) | 2024.10.12 |
C2H5I(g) → C2H4(g) + HI(g) 반응 차수와 속도 상수 (1) | 2024.10.10 |
물질 A가 일차 반응으로 세 번의 반감기 후 10.0 g (4) | 2024.10.09 |
2NO(g) + 2H2(g) → N2(g) + 2H2O(g) 6.0×10^4 M^-2 s^-1 (0) | 2024.09.21 |
2차 반응 적분법으로 반응 속도 구하기 (2) | 2024.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