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환원 반응의 이해
산소를 얻으면 산화, 잃으면 환원,
수소를 잃으면 산화, 얻으면 환원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NH3 + 2O2 → HNO3 + H2O 반응에서
(2O2)는 환원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이 맞는 건가요?
하나 더 Ca(OH)2 + CO2 → CaCO3 + H2O 반응은
왜 산화-환원 반응이 아닌 건지도...
---------------------------------------------------
▶ 참고: 산화-환원 반응 https://ywpop.tistory.com/6525
---------------------------------------------------
산소/수소의 결합/분리로 산화-환원을 따지는 것은
초등학교/중학교 등에서 산화-환원 개념을
아주 단순히 쉽게 설명할 때나 사용합니다.
( 산화-환원 어원이 거기서 시작되었거든요. )
( 보충 설명 https://ywpop.tistory.com/3022 )
하지만 고등학교 이상에서는 산화-환원 개념을
산화수로 설명합니다.
( 산화수 설명 https://ywpop.tistory.com/2719 )
( 또는 전자를 잃음 → 산화수 증가 → 산화,
전자를 얻음 → 산화수 감소 → 환원 )
반응 전/후 산화수가 증가하면, 산화,
산화수가 감소하면 환원이라고 합니다.
NH3 + 2O2 → HNO3 + H2O 반응에서
산소의 산화수는 O2에서 0이고,
HNO3나 H2O에서 –2인데,
따라서 반응 전/후 산소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감소했기에,
O2는 환원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Ca(OH)2 + CO2 → CaCO3 + H2O 반응에서는
반응 전/후 산화수가 변한 물질이 없기 때문에,
산화-환원 반응이 아니라고 합니다.
( 이 반응은 산-염기 반응입니다.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15 )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3B3 complex의 기하 이성질체. fac-mer isomer (0) | 2015.12.25 |
---|---|
레늄(Re) 동위원소의 상대 존재비와 질량 (0) | 2015.12.25 |
반응 전/후 원자의 몰수는 달라지지 않는다 (0) | 2015.12.25 |
비중 1.5인 어떤 용액의 농도가 1%일 때, ppm은? (1) | 2015.12.24 |
ppb 농도. 벤젠 함유량 계산 (0) | 2015.12.24 |
방향족 화합물 명명법. benz- 또는 phenyl- (1) | 2015.12.24 |
산-염기 반응. 용해된 HCl gas의 몰수 계산 (1) | 2015.12.23 |
착물 형성상수와 킬레이트 적정 (0) | 2015.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