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열역학

맥스웰 관계식. Maxwell relations ★

by 영원파란 2014. 11. 29.

AdSense@ywpop

728x170

맥스웰 관계식. Maxwell relations

 

 

 

내부 에너지, U의 정의

dU = dq + dw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19 )

 

 

dq = TdS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80 )

 

 

dw = –Pd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336 )

 

 

∴ dU = TdS – PdV

→ 기본식

 

 

 

 

[1] 내부 에너지: U(S, V)

∴ dU = TdS – PdV

( TdS = dU + PdV )

 

 

 

 

[2] 엔탈피: H(S, P)

엔탈피, H의 정의

H = U + P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72 )

 

 

H를 편미분하면,

dH = dU + PdV + VdP

= TdS – PdV + PdV + VdP

 

∴ dH = TdS + VdP

( TdS = dH – VdP )

 

 

300x250

 

 

[3] 헬름홀츠(Helmholtz) 자유 에너지: F(T, V)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F의 정의

F = U – TS

( A = U – TS )

 

 

F를 편미분하면,

dF = dU – TdS – SdT

= TdS – PdV – TdS – SdT

 

∴ dF = –SdT – PdV

dF = –PdV – SdT

( dA = –SdT – PdV )

( dA = –PdV – SdT )

 

 

 

 

[4] 깁스(Gibbs) 자유 에너지: G(T, P)

깁스 자유 에너지, G의 정의

G = H – TS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38 )

 

 

G를 편미분하면,

dG = dH – TdS – SdT

= TdS + VdP – TdS – SdT

 

∴ dG = –SdT + VdP

 

 

 

 

[참고] 내부 에너지를 E or U 로 표기하듯,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는 F or A 로 표기한다.

 

 

 

 

[ 관련 글 https://en.wikipedia.org/wiki/Maxwell_relations ] Maxwell relations

 

Maxwell relations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354 ] dG = Vdp – SdT 식 유도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2025/01/09-kjkgk-07-kg-200-100.html ]

비열이 0.9 kJ/(kg•K), 질량이 0.7 kg으로 동일하며, 온도가 각각 200℃와 100℃인 두 금속 덩어리를 접촉시켜서 온도가 평형에 도달하였을 때 총 엔트로피 변화량은 약 몇 J/K인가?

 

 

 

[키워드] 열역학 함수 4가지 기준, 4가지 열역학 함수 기준, 맥스웰 기준, 열역학 함수 4가지 사전, 4가지 열역학 함수 사전, 맥스웰 사전, Maxwell relations 기준, Maxwell relations dic, Maxwell relation 기준, Maxwell relation dic, 헬몰쯔 기준, 헬몰츠 기준, 헬몰쯔 사전, 헬몰츠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