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Br(s) ⇌ Ag^+(aq) + Br^-(aq) 반응의 이해
---------------------------------------------------
가령,
AgClO4 수용액과 CaBr2 수용액을 혼합하면,
다음과 같이 AgBr 침전이 발생한다.
2AgClO4(aq) + CaBr2(aq) → 2AgBr(s)↓ + Ca(ClO4)2(aq)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174 )
이때 침전이 발생하는 AgBr과 같은 화합물을
난용성염이라 한다.
( 참고: 난용성염의 정의 https://ywpop.tistory.com/6892 )
AgClO4 수용액과 같이 맑고 투명한 용액과
CaBr2 수용액과 같이 맑고 투명한 용액을
혼합했을 때
AgBr 침전과 같이 난용성염이 생성되는 반응을
침전 반응이라 한다.
( 참고: 침전 반응 https://ywpop.tistory.com/59 )
난용성염인 AgBr을 물에 넣으면,
다음과 같은 이온화 평형 또는 용해 평형이 존재한다.
( 이것은 침전반응, 침전생성, 앙금생성,... 등과 무관하다. )
AgBr(s) ⇌ Ag^+(aq) + Br^-(aq)
약산인 아세트산의 이온화 평형과 같다고 보면 된다.
CH3COOH(aq) ⇌ H^+(aq) + CH3COO^-(aq)
AgBr은 난용성염이기 때문에,
가령, 200 mL의 물에 한 티스푼만큼의 AgBr(고체)을 넣으면,
거의 대부분의 AgBr은 고체 그대로 물 아래에 가라앉고
( 이것을 침전 생성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
극히 일부의 AgBr이 물에 용해되어
AgBr 포화용액이 만들어진다.
이때 물속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용해 평형이 존재한다.
AgBr(s) ⇌ Ag^+(aq) + Br^-(aq)
평형 반응이므로, 평형 상수식으로 나타내보면,
K = [Ag^+] [Br^-] = Ksp
( 참고: Ksp https://ywpop.tistory.com/2966 )
[키워드] 난용성염의 용해 평형 기준문서, 난용성염의 이온화 평형 기준문서
'일반화학 > [17장] 수용액 평형의 다른 관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 8.00 완충용액에서 Fe(OH)2의 몰용해도 (1) | 2021.12.09 |
---|---|
완충 용액이 2배로 희석되었을 때 pH가 변하는가 (0) | 2021.12.08 |
0.050 M HF 0.100 M NaF buffer 0.100 L HNO3 0.002 mol pH (0) | 2021.12.08 |
Mg(OH)2의 몰용해도. 마그네슘 칼슘 이온 KOH 선택적 침전 분리 (0) | 2021.12.05 |
0.10 M CH3COOH 0.10 M NaOH pH 4.46 완충용액 100.0 mL (0) | 2021.12.02 |
0.20 M 아세트산 완충용액 40 mL에 1 mL의 HCl (0) | 2021.12.01 |
NH4^+ pKa 9.24 NH4Cl NH3 buffer pOH 4.35 0.35 mol (1) | 2021.11.26 |
Al(OH)3 용액의 pH. 0.2 M Al^3+ Ksp = 2×10^(-32) (0) | 2021.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