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의 산화수가 +1인 이유
수소가 양이온이 되는 이유
---------------------------------------------------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 https://ywpop.tistory.com/2719 ]
---------------------------------------------------
거의 대부분의 화합물에서
수소의 산화수가 +1인 이유는
수소의 전기음성도가 다른 비금속 원소보다 작기 때문이다.
---> 수소 양이온 이유. 수소가 주로 양이온이 되는 이유
( 참고: 전기음성도 https://ywpop.tistory.com/2567 )
이 때문에,
수소의 전기음성도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진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과 수소가 결합하면,
이때는
수소의 산화수는 –1이 된다.
---> 수소 음이온 이유. 수소가 음이온이 되는 이유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9233 ] LiAlH4의 산화수. NaH의 산화수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965 ] 산소의 산화수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962 ]
붕소의 산화수. BH3의 산화수. NaBH4의 산화수
[키워드] 수소의 산화수 기준, 수소의 산화수 사전, H의 산화수 기준, H의 산화수 사전, 수소 양이온 기준, 수소 양이온 이유 기준, 수소가 양이온이 되는 이유 기준, 수소 양이온 사전, 수소 양이온 이유 사전, 수소가 양이온이 되는 이유 사전
'일반화학 > [04장] 수용액 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짜 CrCl3 + Ba(OH)2. Cr(OH)3 침전 (0) | 2021.10.20 |
---|---|
0.270 M 수산화바륨 45.0 mL + 0.330 M 황산알루미늄 28.0 mL 알짜이온반응식 (0) | 2021.10.19 |
FeS2 H2SO4 Iron Mountain [H3O^+] = 6.3 M pH water (0) | 2021.10.17 |
묽은 염산에 금속 A B를 넣었더니 A 표면에서만 기체 발생 (0) | 2021.10.14 |
묽은 염산에 금속 A판을 넣었더니 A판 표면에서 기체 발생 (0) | 2021.10.06 |
Ag^+ Pb^2+ Ni^2+ 분리 NaCl Na2SO4 Na2S 용액 투입 순서 (3) | 2021.10.04 |
0.01 M H2SO4 50 mL + 0.02 M NaOH 150 mL 용액의 pH (0) | 2021.10.04 |
알짜 (NH4)3PO4 + K2CO3. no rxn (0) | 2021.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