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포도당 연소 반응의 열화학 반응식. 45 g 705 kJ
포도당(C6H12O6) 45 g이 완전 연소하면
이산화 탄소와 물이 생성되면서 705 kJ의 열이 발생한다.
포도당의 연소 반응을 열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내 보자.
단, 포도당의 분자량은 180
---------------------------------------------------
불균형 화학 반응식
C6H12O6 + O2 → CO2 + H2O
균형 맞춘 화학 반응식
C6H12O6 + 6O2 → 6CO2 + 6H2O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5236 )
연소한 포도당의 몰수
= 45 g / (180 g/mol) = 0.25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당 kJ을 계산하면,
705 kJ / 0.25 mol = 2820 kJ/mol
포도당 연소 반응의 열화학 반응식
C6H12O6(s) + 6O2(g) → 6CO2(g) + 6H2O(l) ... ΔH = -2820 kJ/mol
( 참고: 열화학 반응식 https://ywpop.tistory.com/6398 )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04장] 수용액 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짜 Sr(NO3)2 + Li2SO4. SrSO4 침전 (0) | 2021.06.28 |
---|---|
10.00 M HNO3 125.0 mL 500.0 mL 30.00 mL NaOH 16.74 mL acid (1) | 2021.06.24 |
0.50 M HCl 15.00 mL + NaOH 16.00 mL (0) | 2021.06.21 |
0.4 M NaOH 50 mL 중화에 필요한 0.1 M HCl의 부피 (0) | 2021.06.14 |
0.110 M CaCl2 용액 1 L 속에 들어있는 이온의 몰수 (0) | 2021.06.06 |
0.01 N HCl(f 0.90) 10 mL + 0.01 N NaOH(f 1.20) 10 mL 용액의 pH (0) | 2021.06.05 |
0.01 M H2SO4 10 mL + 0.01 N NaOH 10 mL 용액의 pH (0) | 2021.06.05 |
Pb^2+ 이온과 반응하여 물에 녹는 화합물을 형성하는 이온 (0) | 2021.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