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

개수 = 몰수

by 영원파란 2019. 10. 15.

AdSense@ywpop

728x170

개수 = 몰수

 

 

C4H63 mol일 때,

C12 mol, H18 mol 있다고 하는데,

왜 각각 4×3 mol, 6×3 mol인가요?

 

---------------------------------------------------

 

1 mol = 6.022×10^23 개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mol수와 개수는 정비례합니다. ,

mol= 개수

 

 

C4H63 mol일 때,

C12 mol, H18 mol 있다고 하는데,

왜 각각 4×3 mol, 6×3 mol인가요?

---> C4H6 분자 1개는

C 원자 4, H 원자 6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 화학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2968 )

 

 

따라서

C4H6 분자 3개 속에는

C 원자는 4 × 3 = 12,

H 원자는 6 × 3 = 18

가 존재합니다.

 

 

가령 식빵 2개와 식빵 속에 넣는 재료 6개로 샌드위치 1개를 만든다면,

샌드위치 3개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각의 개수를 계산하면,

식빵은 2 × 3 = 6,

식빵 재료는 6 × 3 = 18개

와 같은 원리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