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의 MO. NO의 분자오비탈 예제
다음 그림은 중성 상태의 분자 AB의
바닥상태 분자궤도함수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단, A, B는 주기율표에서 서로 이웃하는 원소이다.)
[ 그림 출처 https://images.app.goo.gl/oz7ZnZJi54p6W4aM8 ]
NO의 MO.
( 위 그림에서 N = A, O = B. )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A의 원자 반지름은 B보다 작다.
2) A의 전기음성도는 B보다 크다.
3) 음이온 AB^-의 A와 B 사이의 결합은 이중 결합이다.
4) 양이온 AB^+는 상자성을 가진다.
------------------------
[참고] 분자 오비탈 (Molecular Orbital, MO) 이론
[ https://ywpop.tistory.com/6048 ]
2) B의 전기음성도가 더 크다.
---> 전기음성도가 더 큰 원자의 AO는 에너지 준위가 더 낮다.
( 이유는 대학교 일반화학 수준에서 설명 불가능. 대학교 1학년까지는 그냥 외울 것. )
( 양자역학(의 수식)으로 설명 가능. 즉, 양자역학을 마스터한 다음에 이유를 따질 것. )
1) A의 원자 반지름이 더 크다.
---> 전기음성도 크기와 원자 크기의 경향성은 반대다.
( 참고: 원자 반지름 https://ywpop.tistory.com/9339 )
3) 음이온 AB^-의 A와 B 사이의 결합은 이중 결합이다.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 1/2 (6 – 2) = 2
( 상쇄되는 2s 전자는 계산에서 생략. )
---> 이중 결합이 맞다.
( 참고: 결합 차수 https://ywpop.tistory.com/6879 )
4) 양이온 AB^+는 반자성을 가진다.
---> 홀전자가 없으므로, 반자성이다.
( 참고: 분자의 자기적 성질 https://ywpop.tistory.com/3224 )
( 참고: NO의 분자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11631 )
답: 3) 음이온 AB^-의 A와 B 사이의 결합은 이중 결합이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832 ]
NO, NO^-, NO^+의 루이스 구조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094 ]
일산화탄소(CO)의 MO
[키워드] 분자오비탈과 전기음성도 기준, 전기음성도와 분자오비탈 기준, 분자오비탈에서 전기음성도 기준
'일반화학 > [09장] 분자의 기하구조와 결합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필렌(CH3-CH=CH2)에 존재하는 화학 결합 방식 (0) | 2020.02.11 |
---|---|
XeF2의 루이스 구조 (2) | 2020.02.01 |
분자 오비탈 이론. σ MO와 π MO (1) | 2019.12.31 |
Li2 분자의 MO 도표. MO diagram of Li2 (2) | 2019.12.30 |
MO of NO. NO의 분자오비탈 (0) | 2019.06.28 |
I3^- 루이스 구조 그리기. I3^- Lewis structure (0) | 2019.06.17 |
중심원자의 혼성오비탈 결정 ★ (1) | 2019.06.15 |
SCl2 루이스 구조 그리기 (0) | 2019.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