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용액의 농도

오스몰농도(osmolarity)와 오스몰랄농도(osmolality)

by 영원파란 2018. 11. 1.

AdSense@ywpop

오스몰농도(osmolarity)와 오스몰랄농도(osmolality)

몰농도(molarity)와 몰랄농도(molality)

오스몰농도 = 삼투몰농도

 

---------------------------------------------------

▶ 참고: 용액의 농도 표시법

[ https://ywpop.tistory.com/2655 ]

---------------------------------------------------

 

생체 내에서는 삼투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비커나 플라스크 속 “화학적 용액”과

생체 속 “생물학적 용액”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삼투 현상에서 중요한 인자는

용액 속에 존재하는 “용질 입자의 수”이고,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1 )

 

오스몰농도는

일정 부피의 용액 속에 존재하는

“용질 입자의 수”를 나타낸 농도이다.

 

삼투압 계산할 때 나오는

반트호프 인자(i)에 대해 이미 알고있다면,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48 )

 

오스몰농도는 아주 간단히 계산할 수 있다. 왜냐하면,

오스몰농도 = 몰농도 × 반트호프 인자(i)” 이기 때문이다.

 

osmolarity 오스몰농도

 

 

---------------------------------------------------

 

 

아래쪽에 영문으로 장황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시간 있을 때나 읽어보고...

 

몰농도와 몰랄농도를 구할 줄 안다면,

 

( 참고: 몰농도와 몰랄농도 https://ywpop.tistory.com/2667 )

 

오스몰농도와 오스몰랄농도는 이미 구한 거나 마찬가지이다.

 

 

영어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몰농도와 오스몰농도가 비슷하고,

몰랄농도와 오스몰랄농도가 비슷하다,

각각 분모가 서로 같다.

 

 

 

[1] 비전해질 용액의 몰농도와 오스몰농도

 

먼저,

설탕과 같은 비전해질 용질인 경우,

몰농도 = 오스몰농도” 이고,

몰랄농도 = 오스몰랄농도” 이다.

 

 

즉,

1 M 설탕 용액 = 1 mol/L 설탕 용액 = 1 osmol/L 설탕 용액

( 분모는 용액의 L수 )

 

 

1 m 설탕 용액 = 1 mol/kg 설탕 용액 = 1 osmol/kg 설탕 용액

( 분모는 용매의 kg수 )

 

 

반응형

 

 

[2] 전해질 용액의 몰농도와 오스몰농도

 

소금과 같은 전해질 용질인 경우,

총괄성(총괄성질)에 대해 알고 있다고 가정하면,

반트호프 인자(i)도 알고 있을 테니,

 

용질의 mol수 × 반트호프 인자 = 용질의 osmol수” 이다.

( 참고: 반트호프 인자 https://ywpop.tistory.com/2648 )

 

또는 전해질 용질의 이온화식을 작성할 수 있다면,

용질의 mol수 × 이온의 개수 = 용질의 osmol수” 이다.

 

 

NaCl의 경우, 반트호프 인자 = 2 이므로, 또는

NaCl(aq) → Na^+(aq) + Cl^-(aq) 이므로,

1 mol/L NaCl 용액 = 2 osmol/L NaCl 용액

 

 

MgCl2의 경우, 반트호프 인자 = 3 이므로, 또는

MgCl2(aq) → Mg^2+(aq) + 2Cl^-(aq) 이므로,

1 mol/L MgCl2 용액 = 3 osmol/L MgCl2 용액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5911 ] 전해질과 비전해질

 

 

---------------------------------------------------

 

 

Osmotic concentration, formerly known as osmolarity, is the measure of solute concentration, defined as the number of osmoles (Osm) of solute per litre (L) of solution (osmol/L or Osm/L). The osmolarity of a solution is usually expressed as Osm/L (pronounced “osmolar”), in the same way that the molarity of a solution is expressed as “M” (pronounced “molar”). Whereas molarity measures the number of moles of solute per unit volume of solution, osmolarity measures the number of osmoles of solute particles per unit volume of solution.

 

 

Osmolarity is distinct from molarity because it measures osmoles of solute particles rather than moles of solute. The distinction arises because some compounds can dissociate in solution, whereas others cannot.

 

 

Ionic compounds, such as salts, can dissociate in solution into their constituent ions, so there is not a one-to-one relationship between the molarity and the osmolarity of a solution. For example, sodium chloride (NaCl) dissociates into Na^+ and Cl^- ions. Thus, for every 1 mole of NaCl in solution, there are 2 osmoles of solute particles (i.e., a 1 mol/L NaCl solution is a 2 osmol/L NaCl solution). Both sodium and chloride ions affect the osmotic pressure of the solution.

 

 

Another example is magnesium chloride (MgCl2), which dissociates into Mg^2+ and 2Cl^- ions. For every 1 mole of MgCl2 in the solution, there are 3 osmoles of solute particles.

 

 

Nonionic compounds do not dissociate, and form only 1 osmole of solute per 1 mole of solute. For example, a 1 mol/L solution of glucose is 1 osmol/L.

 

[ 자료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Osmotic_concentration ]

 

 

---------------------------------------------------

 

 

Osmolality is a measurement of the total number of solutes in a liquid solution expressed in osmoles of solute particles per kilogram of solvent.

 

 

Osmolality is the number of Osmols of solute particles per kilogram of pure solvent.

 

 

 

 

[키워드] 오스몰농도 기준, 오스몰랄농도 기준, 오스몰농도 사전, 오스몰랄농도 사전, 삼투몰농도 기준, 삼투몰농도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