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12770

못이 녹스는 이유 못이 녹스는 이유금속이 부식되는 이유. 금속이 산화되는 이유       못의 재료는 금속인 철(Fe)입니다.그럼 철은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원래 철은 자연 상태에서 철광석, 즉 화합물 형태로 존재합니다.왜? 화합물로 존재하는 것이 안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림] 철광석 (ironstone).       이 안정한 철광석 화합물을, 인간의 필요에 따라, 채취하여제철소에서 환원 과정을 거쳐 만든 것이 바로 금속 철입니다.즉,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지요.       자연에서 안정한 철광석을 인위적으로 철로 만들어놨으니,철이 가만히 있지 않습니다.다시 본래대로, 즉 화합물 형태인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합니다.       이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는 과정이 바로 금속의 .. 2014. 10. 21.
산-염기 지시약, Acid-Base Indicators 산-염기 지시약, Acid-Base Indicators Indicator pH Range Acid Base Thymol Blue 1.2-2.8 red yellow Pentamethoxy red 1.2-2.3 red-violet colorless Tropeolin OO 1.3-3.2 red yellow 2,4-Dinitrophenol 2.4-4.0 colorless yellow Methyl yellow 2.9-4.0 red yellow Methyl orange 3.1-4.4 red orange Bromphenol blue 3.0-4.6 yellow blue-violet Tetrabromphenol blue 3.0-4.6 yellow blue Alizarin sodium sulfonate 3.7-5.2 ye.. 2014. 10. 21.
분자 오비탈 전자 배치, 네온 분자(Ne2), 이온 분자 오비탈 전자 배치, 네온 분자(Ne2), 이온 Molecular orbital diagram of dineon ion 결합 차수 (bond order) ※ 분자보다 이온의 결합 차수가 더 크기 때문에, 이온이 더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표시가 있는 오비탈 = 반결합성 MO *표시가 없는 오비탈 = 결합성 MO [참고] 2s 오비탈 전자는 결합성 MO와 반결합성 MO에 같은 수의 전자가 채워져 있기에 계산에서 생략하였습니다. [키워드] 분자오비탈, 결합차수, MO Diagrams of Ne2, MO of Ne2, Ne2의 MO 기준문서 2014. 10. 21.
부식(corrosion) 부식(corrosion) --------------------------------------------------- [ 이미지 출처: commons.wikimedia.org ] 부식이란?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금속이 손상되는 현상. ⇨ 이것은 인간 문명 세계의 관점이다. 시험에서 문제가 나오면 답은 이것을 써야한다. ( 참고: 산화-환원 반응 https://ywpop.tistory.com/6525 ) 그러나 신(GOD) 또는 자연의 관점에서 보면, 부식이란? 금속이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는 과정 (자발적인 산화-환원 반응). 왜냐하면, 원래 산화물 형태로 안정하게 존재하고 있던 철광석을 제철소에서 인위적으로 환원 과정을 거쳐 얻은 물질이 바로 금속이기 때문이다. [ 관련 글: 철의 제련 https://.. 2014. 10. 20.
난용성염인 AgCl의 침전 문제. 용해도곱(solubility product) 상수 난용성염인 AgCl의 침전 문제. 용해도곱(solubility product) 상수 Cl^- 이온의 농도가 0.003 M인 용액에서 AgCl을 침전시키는데 필요한 Ag^+ 이온의 농도를 구하시오. --------------------------------------------------- AgCl은 난용성염이기 때문에, 물에서 극히 일부만 용해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AgCl의 용해도곱 상수(Ksp)를 사용해서 답을 구해야 됩니다. [ 참고: Ksp 도표 https://ywpop.tistory.com/7169 ] 2014. 10. 18.
열화학. 자유 에너지와 온도. 온도와 반응의 자발성 열화학. 자유 에너지와 온도. 온도와 반응의 자발성 다음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이 반응은 낮은 온도에서만, 혹은 고온에서만 자발적인지, 아니면 모든 온도에서 자발적인지 여부를 설명하시오. --------------------------------------------------- 발열반응이니까(ΔH 엔트로피 항]이기 때문에, 자발적(ΔG 0)이 됩니다. --------------------------------------------------- 온도에 따라.. 2014. 10. 18.
"6N+2 Rule" for Writing Lewis Octet Structures "6N+2 Rule" for Writing Lewis Octet Structures The "6N+2 Rule" states that 6N+2 valence electrons are required to write an all-single-bonded, non-cyclic Lewis octet structure, where N is the number of non-hydrogen atoms in the molecule. 모두 단일 결합인 비고리형 루이스 구조에 필요한 원자가전자 수는 (6N+2)개이다. 여기서 N은 수소를 제외한 원자 수이다. [Rules for Writing Lewis Octet Structures] 1) Calculate V, the total number of valence elec.. 2014. 10. 17.
[주기율표] 원자량 순서에 따른 화학 원소 [주기율표] 원자량 순서에 따른 화학 원소 Chemical elements listed by atomic mass Name Symbol Atomic number Atomic Mass Hydrogen H 1 1.0079 Helium He 2 4.0026 Lithium Li 3 6.9410 Beryllium Be 4 9.0122 Boron B 5 10.8110 Carbon C 6 12.0107 Nitrogen N 7 14.0067 Oxygen O 8 15.9994 Fluorine F 9 18.9984 Neon Ne 10 20.1797 Sodium Na 11 22.9897 Magnesium Mg 12 24.3050 Aluminum Al 13 26.9815 Silicon Si 14 28.0855 Phosphor.. 2014. 10. 17.
Cu(OH)2 용액의 pH가 13.4일 때, 용액의 농도 Cu(OH)2 용액의 pH가 13.4일 때, 용액의 농도 Cu(OH)2 용액의 pH가 13.4일 때, 이 용액의 농도를 구하시오. ---------------------------------------- Cu(OH)2는 물에서 다음과 같이 이온화됩니다. 1몰 Cu(OH)2가 이온화되면, 2몰 수산화이온이 생성됩니다. 수산화구리(II) 용액의 pH는 수산화이온의 몰농도에 의해 결정되며, 수산화이온의 몰농도는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pOH 값은 문제에서 주어진 pH와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pH + pOH = 14 pOH = 14 – 13.4 = 0.6 따라서 수산화이온의 몰농도는 0.25 M이 됩니다. 그런데, 앞에서 1몰 Cu(OH)2가 이온화되면, 2몰 수산화이온이 생성되기 때문에, .. 2014. 10. 16.
균일(homogeneous) 반응, 불균일(heterogeneous) 반응 균일(homogeneous) 반응, 불균일(heterogeneous) 반응 다음 각 반응이 균일 반응인지, 불균일 반응인지 쓰시오. ------------------------------------------- 균일과 불균일의 구분은 ‘물리적으로 명확히 구별되는 경계가 존재 하나? 안하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게 헷갈리면, 간단한 팁을 하나 드리겠습니다. 반응물과 생성물에서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꼬리표인 중에서 서로 다른 것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그 반응은 불균일 반응입니다. 단, 는 같은 것으로 취급합니다. 답: (a)와 (c)만 균일(homogeneous) 반응이고, 나머지는 모두 불균일 반응입니다. (추가 설명) (a) 물의 자동이온화 반응. 2014. 10.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