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6장] 원자의 전자 구조281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방출하는 에너지와 파장. n=3 to n=2 ★ 수소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와 파장 계산 - atomic hydrogen emission spectrum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n=3에서 n=2로 전이될 때, 방출되는 빛의 에너지와 파장을 구하시오. --------------------------------------------------- ▶ 참고: [목차] 수소 원자가 흡수 또는 방출하는 빛의 에너지와 파장 [ https://ywpop.tistory.com/17939 ] --------------------------------------------------- 보어가 완성한 수소 원자의 n번째 궤도의 에너지 계산식 [참고] 계산식 앞에 마이너스가 붙은 이유 전자가 가장 들뜬(불안정한) 상태, 즉 전자가 너무나 들떠서 원자핵의 인력을 벗어나 .. 2015. 1. 6.
왜 전자 껍질(오비탈)의 이름이 K L M N일까요? 왜 전자 껍질(오비탈)의 이름이 K L M N일까요?Why orbits are named K L M N?       전자 껍질의 이름은Charles G. Barkla (찰스 글러버 바클라) 라는분광학자(spectroscopist)가 붙였습니다.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Glover_Barkla )       그는 원자에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를 충돌시켜,즉 원자와 전자를 충돌시켜이때 “원자에서 방출되는 X-선”을 연구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원자에서 두 종류의 X-선이 방출되는 것을 발견하고는,보다 높은 에너지의 X-선을 A,보다 낮은 에너지의 X-선을 B 라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러다가 나중에 이름을 각각 .. 2014. 11. 14.
한 벌의 양자수. a set of quantum numbers ★ 한 벌의 양자수. a set of quantum numbers ---------------------------------------------------▶ 참고: 제6장 원자의 전자 구조.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22 ]--------------------------------------------------- [파동 방정식과 양자수]( https://ywpop.tistory.com/7108 )---> 이 글을 먼저 읽어보길 권장합니다. [1] 주양자수 (principal quantum number, n)▶ 오비탈의 크기 결정. ‘껍질 (shell)’▶ n = 1, 2, 3, ... : 정수 ( 참고: 전자껍질의 이름이 K부터 시작.. 2014. 10. 29.
양자(quantum)와 양자 역학(quantum mechnics)에 대한 짧은 개념 양자(quantum)와 양자 역학(quantum mechnics)에 대한 짧은 개념 --------------------------------------------------- ▶ 참고: 제6장 원자의 전자 구조.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22 ] --------------------------------------------------- 양자 역학이란 학문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양자(quantum)란 무엇일까요? 먼 그리스 시대부터 사람들은 ‘물질을 잘게 쪼개면 결국에는 어떻게 될까?’에 대해 의문을 가졌었고, 그 결과 한때나마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물질인 '원자(atom)'에 도달한다고 결론을 지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원자도 더 잘게 쪼갤 수 있다는 것이,.. 2014. 10. 25.
오비탈의 축퇴, degenerate orbital 오비탈의 축퇴, degenerate orbital       축퇴는 그림까지 그려서 설명할 것도 없는 아주 단순한 개념입니다.영어로 ‘degenerate’인 축퇴의 의미는 단 한마디로 ‘같다’입니다.   뭐가 같나하면?‘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레벨, 높이, 크기)가 같다’입니다.       예를 들어,   수소 원자의 경우에는, 한 껍질 내에 있는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모두 같습니다.( 주양자수, n이 같은 오비탈은 에너지 준위가 모두 같다. )( 한 껍질 내에 있는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축퇴되어있다. )   즉, 2s 오비탈과 2p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가 같다는 말입니다.       [그림]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 수소 원자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         그러나 수소를 제외한 .. 2014. 10. 24.
원자 오비탈의 전자 배치 순서의 예외, 크롬(Cr)과 구리(Cu) ★ 원자 오비탈의 전자 배치 순서의 예외, 크롬(Cr)과 구리(Cu)( 원자번호 24번 크롬, 원자번호 29번 구리 )   ---------------------------------------------------▶ 참고: 제6장 원자의 전자 구조.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22 ]---------------------------------------------------   ▶ (n+l) 규칙> 일반적으로 원자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질 때는(n+l) 규칙에 따라 전자가 채워진다.( 참고: (n+l) 규칙 https://ywpop.tistory.com/2841 )   그러나 크롬 원자와 구리 원자에서 예외 현상이 발견된다.       [표] 4주기 전이금속의 원자가전자 .. 2014. 10. 3.
(n+l) 규칙. 원자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 전자 배치 순서 ★ (n+l) 규칙. 원자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 전자 배치 순서   ---------------------------------------------------▶ 참고: 한 벌의 양자수[ https://ywpop.tistory.com/2932 ]---------------------------------------------------   ▶ 참고: 쌓음 원리(Aufbau principle)[ https://ywpop.tistory.com/2840 ]       다전자 원자의 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지는 순서는 다음 그림과 같다.( 기본적으로, 에너지 준위가 낮은(안정한) 오비탈부터 전자가 채워진다. )       복잡해 보이는 이것을 힘들게 외울 필요는 없다. 규칙이 있다.       원자 오비탈.. 2014. 10. 2.
원자 오비탈에 전자를 채우는 방법 (전자 배치 순서) ★ 원자 오비탈에 전자를 채우는 방법 (전자 배치 순서) ---------------------------------------------------▶ 참고: 제6장 원자의 전자 구조.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22 ]--------------------------------------------------- [1] 쌓음 원리 (Aufbau principle, 축조 원리)▶ 에너지 준위가 가장 낮은(안정한) 오비탈부터 전자가 채워진다.▶ 에너지 준위가 가장 낮은(안정한) 오비탈부터 전자를 채운다.>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는 “(n + l) 규칙”으로 결정.( 참고: (n + l) 규칙 https://ywpop.tistory.com/2841 ) [참고] 안.. 2014. 10. 1.
문턱. threshold 문턱. threshold --------------------------------------------------- ▶ 참고: 금속의 일함수와 문턱 진동수 [ https://ywpop.tistory.com/21474 ] --------------------------------------------------- 문턱 이미지가 필요해서 인터넷에서 찾아보았는데, 적당한 게 없어서 직접 촬영함.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3198 ] 광전 효과 ◆ 실험 결과 a. 입사광의 진동수가 어느 한계값 보다 커야 전자가 방출된다. ( 즉, 이 문턱을 넘을 수 있는 에너지가 최소한 필요하다. )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5258 ] 광전효과. 구리 .. 2013. 4. 8.
파울리 배타 원리(배타율). Pauli exclusion principle ★ 파울리 배타 원리(배타율). Pauli exclusion principle ▶ 배타 원리: 한 원자에 있는 어떠한 두 전자도 동일한 양자수 집합(n, l, ml, ms)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이 때문에, ① 3개 이상의 전자가 한 궤도함수(= 오비탈, 방)에 들어갈 수 없으며, ② 두 전자가 한 궤도함수에 들어갈 때는 그들의 스핀 방향은 서로 반대이어야 한다. ▶ 우리의 주민등록번호와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한민국 국민 중에서, 주민등록번호가 같은 두 사람이 있을 수 없듯이, 한 원자 안에서 4개의 양자수 set가 같은 두 전자는 있을 수 없습니다. ( 참고: 4개의 양자수 https://ywpop.tistory.com/2932 ) 예) > 빨간 전자의 주민등록번호: (1, 0, 0, +1/2).. 2012.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