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3장] 화학량론858

1.0 g의 몰수가 2.27×10^(-2) mol인 화합물 1.0 g의 몰수가 2.27×10^(-2) mol인 화합물     For which of the following compoundsdoes 1.0 g represent 2.27×10^(-2) mol?a. H2O b. CO2 c. NH3 d. C2H6     어떤 화합물 1.0 g은2.27×10^(-2) mol을 나타낼 때다음 중 이 화합물은 무엇인가? a. H2O b. CO2 c. NH3 d. C2H6   ------------------------   화합물의 몰질량(g/mol)을 계산하면,1.0 g / (2.27×10^(-2) mol)= 44.05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CO2의 몰질량 = (12) + 2(16) = 44 g/mo.. 2025. 1. 24.
미정계수법. C + O2 → CO2 미정계수법. C + O2 → CO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C + bO2 → cCO2       > C의 개수: a = c ... (1)> O의 개수: 2b = 2c ... (2)       a = 1 이라 두면,from (1), c = 1from (2), b = 1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1> c = 1       따라서 균형 맞춘 반응식은C + O2 → CO2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1230 ]미정계수법. Cu + O2 → CuO       [키워드] 미정계수법 C + O2 .. 2025. 1. 24.
미정계수법. Cu + O2 → CuO 미정계수법. Cu + O2 → CuO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Cu + bO2 → cCuO       > Cu의 개수: a = c ... (1)> O의 개수: 2b = c ... (2)       a = 1 이라 두면,from (1), c = 1from (2), b = 1/2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1/2> c = 1       계수는 정수이어야 하므로,각 계수에 2씩 곱하면,> a = 2> b = 1> c = 2       따라서 균형 맞춘 반응식은2Cu + O2 → 2CuO         [참고] 미정계수법 대신 눈대중이런 간단한.. 2025. 1. 24.
미정계수법. C2H5O2N → CO2 + H2O + HNO3 미정계수법. C2H5O2N → CO2 + H2O + HNO3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C2H5O2N → bCO2 + cH2O + dHNO3       > C의 개수: 2a = b ... (1)> H의 개수: 5a = 2c + d ... (2)> O의 개수: 2a = 2b + c + 3d ... (3)> N의 개수: a = d ... (4)       a = 1 이라 두면,from (1), b = 2from (4), d = 1   from (2),> 5 = 2c + 1> c = 2       a, b, c, d가 모두 결정되었기에,(3)식 계산은 생략하고,계수를 정리하면,>.. 2025. 1. 21.
질량을 몰질량으로 나누면 몰 질량을 몰질량으로 나누면 몰개수를 아보가드로수로 나누면 몰부피를 아보가드로수로 나누면 몰   ------------------------   [참고] 아보가드로수와 몰(mol)[ https://ywpop.tistory.com/6475 ]   1 mol = 6.022×10^23 개 이므로,아보가드로수, N_A는“6.022×10^23 개” 가 아닌,“6.022×10^23 개/mol” 이다.---> 아보가드로수의 단위는 개/mol.       ▶ 질량을 화학식량으로 나누면 왜 몰?---> 질량을 몰질량으로 나누면 왜 몰?   ▶ 개수를 아보가드로수로 나누면 왜 몰?   ▶ 부피를 아보가드로수로 나누면 왜 몰?---> 부피를 몰부피로 나누면 왜 몰?       단위(차원)에 주목하면,문제가 쉽게 해결된다.. 2025. 1. 15.
몰수는 n mol에서 n을 의미 몰수는 n mol에서 n을 의미   ------------------------   몰수는 n mol에서 n을 의미한다.---> 이렇게 쓸 수도 있지만,보통 mol의 기호를n으로 사용하기 때문에,혼동되므로,몰수는 x mol에서 x를 의미한다.라고 바꾸자.       “몰수 = 질량 / 몰질량” 이다.---> 맞다. 또는“몰 = 질량 / 몰질량”,이렇게 쓸 수도 있다.       각각의 기호 (단위)를 나타내면,> 몰수는 n (mol)> 질량은 W (g)> 몰질량은 M (g/mol)       따라서“몰수 = 질량 / 몰질량” 을기호로 나타내면,n = W / Mmol = g /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다른 식으로 표현하면,“.. 2025. 1. 13.
수소(H) 원자 1 mol이 포함된 물(H2O) 분자의 질량(g) 수소(H) 원자 1 mol이 포함된 물(H2O) 분자의 질량(g)수소(H) 원자 1 mol을 포함하는 물(H2O) 분자의 질량(g)   ------------------------   1 mol = 6.022×10^23 개 이므로,mol수와 개수는 비례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H2O 분자 1개는H 원자 2개와O 원자 1개로 이루어져 있다.     또는H2O 분자 1 mol 속에는H 원자 2 mol과O 원자 1 mol이 포함되어 있다.     비례식으로 나타내면,H2O : H : O = 1 : 2 : 1 개수비(= 몰수비) 이다.       따라서수소(H) 원자 1 mol을 포함하는물(H2O) 분자의 몰수를 계산하면,H2O : H .. 2025. 1. 13.
0.0433 M NaClO3 15.0 mL와 반응하는 I2의 질량 0.0433 M NaClO3 15.0 mL와 반응하는 I2의 질량     Consider the following unbalanced equation in acidic solution:NaClO3 + I2 + H2O → HIO3 + NaClA 15.0 mL sample of 0.0433 M NaClO3 reacted with20.0 mL of an aqueous solution of I2.How many milligrams of I2 were contained in the I2 solution?(A) 98.9(B) 0.989(C) 9.89(D) 0.275(E) 27.5   ------------------------   (0.0433 mol/L) (15.0/1000 L)= 0.0006495 mol Na.. 2025. 1. 8.
미정계수법 Na2SO4 + CaCl2 → CaSO4 + NaCl 미정계수법 Na2SO4 + CaCl2 → CaSO4 + NaCl원자단이 있는 미정계수법원자단을 포함하는 미정계수법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팁] SO4, 즉 SO4^2- 이온은원자단이므로,( 참고: 원자단 https://ywpop.tistory.com/2968 )   SO4 전체를 1개 원자로 취급한다.       aNa2SO4 + bCaCl2 → cCaSO4 + dNaCl   > Na의 개수: 2a = d ... (1)> SO4의 개수: a = c ... (2)> Ca의 개수: b = c ... (3)> Cl의 개수: 2b = d ... (4)       a = 1 이라 두면,from (1), d = 2from (.. 2025. 1. 5.
120 g Mg와 100 g O2가 반응 생성되는 MgO의 질량 120 g Mg와 100 g O2가 반응 생성되는 MgO의 질량     120 g 마그네슘과 100 g 산소를 반응시켰을 때,생성되는 산화 마그네슘의 질량은?       균형 맞춘 화학 반응식2Mg + O2 → 2MgO( 참고 https://ywpop.tistory.com/9599 )       > Mg의 몰질량 = 24.31 g/mol> O의 몰질량 = 16.00 g/mol       각 물질의 질량비를 계산하면,2Mg : O2 : 2MgO= 2(24.31) : (32.00) : 2(24.31 + 16.00)= 48.62 : 32.00 : 80.62≒ 1.5 : 1 : 2.5= 3 : 2 : 5       Mg와 반응하는 O2의 질량을질량비로 계산하면,2Mg : O2 = 3 : 2 = 12.. 2024. 1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