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3장] 화학량론876

미정계수법. Al + H2O → Al(OH)3 + H2 미정계수법. Al + H2O → Al(OH)3 + H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Al + bH2O → cAl(OH)3 + dH2   > Al의 개수: a = c ... (1)> H의 개수: 2b = 3c + 2d ... (2)> O의 개수: b = 3c ... (3)       a = 1 이라 두면,from (1), c = 1from (3), b = 3   from (2), 6 = 3 + 2d2d = 3d = 3/2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3> c = 1> d = 3/2       계수는 정수이어야 하므로,각 계수에 2씩 곱하면,> a = 2> .. 2025. 2. 27.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분자량과 1 g당 분자 수   ------------------------   이런 게 이해가 안 되면,그냥 한 번 계산해 보는 겁니다.       가령,H2O의 몰질량(= 분자량) = 18 g/mol 이고,CO2의 몰질량 = 44 g/mol 이므로,( 참고: 몰질량 https://ywpop.tistory.com/11196 )       1 g H2O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1 g) (1 mol / 18 g) (6×10^23 개 / 1 mol)= (1) (1 / 18) (6×10^23)= 3.33×10^22 개---> H2O 1 g당 H2O 분자의 수       1 g CO2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1 g) (1 mol / 44 g) (6×10^23 개 / 1 mol).. 2025. 2. 23.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   CH4의 몰질량 = 16 g/mol 이므로,4 g CH4의 몰수= 4 g / (16 g/mol)= 0.25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개 CH4 분자 속에 들어있는전체 원자 수는 5개이므로,전체 원자의 몰수= (0.25 mol 분자) × (5개 원자 / 1개 분자)= 1.25 mol 원자       1 mol = 6.022×10^23 개 = N_A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1.25 mol 원자) × (N_A / 1 mol)= 1.25N_A 원자     .. 2025. 2. 22.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C2H4 가스와 O2 가스가 반응하여CO2와 H2O가 생성되는 반응에서,28 g의 C2H4와 128 g의 O2가 반응하여생성되는 CO2가 70.4 g 얻어졌다면반응의 수득률(%)은?   ------------------------   C2H4의 몰질량 = 2(12) + 4(1) = 28 g/mol 이므로,28 g의 C2H4의 몰수= 28 g / (28 g/mol)= 1 mol C2H4(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128 g의 O2의 몰수= 128 / 32= 4 mol O2       C2H4 연소 반응식C2H4 + 3O2 → 2.. 2025. 2. 19.
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 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   ------------------------   NaCl은 이온결합 화합물이므로,아래 그림과 같은 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1 mol = 6.022×10^23 개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1 mol NaCl 속에는(Na^+) (Cl^-), 요런 이온쌍이6.022×10^23 개 들어있다.즉, NaCl이 6.022×10^23 개 들어있다.       따라서1 mol NaCl 속에는Na^+ 이온이 1 mol,Cl^- 이온이 1 mol 해서,전체 이온은 2 mol 들어있다.       따라서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는2 mol × (6.022×10^23 개 / 1 mo.. 2025. 2. 17.
미정계수법.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미정계수법.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앞 문제에서 x = 3 으로 결정되었고,(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1287 )   탄화수소 연소 반응식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26 )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2(탄화수소) + 7O2 → yCO2 + 6H2O       탄화수소 = CaHb 라 두면,2CaHb + 7O2 → yCO2 + 6H2O       C의 개수: 2a = y ... (1)   H의 개수: 2b = 12.. 2025. 2. 14.
미정계수법. C2H5OH + xO2 → 2(___) + xH2O 미정계수법. C2H5OH + xO2 → 2(___) + xH2O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탄화수소나 알코올은산소와 반응(연소)하면,CO2와 H2O가 생성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26 )       C2H5OH + xO2 → 2(___) + xH2O   C2H5OH + xO2 → 2CO2 + xH2O       C의 개수는 맞다.   H의 개수: 6 = 2x---> x = 3       (완성된) 에탄올 연소 반응식C2H5OH + 3O2 → 2CO2 + 3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99 )    .. 2025. 2. 14.
분자의 몰수와 원자의 몰수 분자의 몰수와 원자의 몰수         H2O 분자 1개는H 원자 2개와O 원자 1개로 이루어져 있다.     H2O 분자 1개 속에는H 원자 2개와O 원자 1개가 들어있다.---> H2O 분자 1개 속에는총 3개의 원자가 들어있다.     H2O 분자 1 mol 속에는H 원자 2 mol과O 원자 1 mol이 들어있다.---> H2O 분자 1 mol 속에는총 3 mol의 원자가 들어있다.       예1) 1 mol H2O 분자에 들어있는전체 원자는 몇 mol인가?   전체 원자의 몰수= 분자의 몰수 × 전체 원자의 개수= 1 mol × 3개= 3 mol     예2) 2.5 mol H2O 분자에 들어있는전체 원자는 몇 mol인가?   전체 원자의 몰수= 분자의 몰수 × 전체 원자의 개수= .. 2025. 2. 1.
전체 원자의 몰수 = 분자의 몰수 × 분자당 원자수 전체 원자의 몰수 = 분자의 몰수 × 분자당 원자수전체 원자수 = 원자의 몰수 × N_A전체 원자의 개수 = 원자의 몰수 × N_A   ------------------------   가령, 1 mol CH4 분자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의 몰수는CH4 1개 분자당 원자수 = 5개 이므로,(1 mol 분자) × (5개 원자 / 1개 분자)= 5 mol 원자     또는 간단히,전체 원자의 몰수= 분자의 몰수 × 분자당 원자수= 1 mol × 5 = 5 mol       N_A = 6.022×10^23 개/mol 이고,(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원자의 몰수 = 5 mol 이므로,전체 원자수(원자의 개수)를 계산하면,전체 원자수= 원자의 몰수 × N_A= 5 m.. 2025. 1. 29.
원자 1개의 질량. 원자량 / N_A 계산 원자 1개의 질량. 원자량 / N_A 계산물질 1개의 질량. 몰질량 / N_A 계산   ------------------------   단위가 없는 원자의 질량, 또는단위가 amu인 원자의 질량은그 원자 1개의 실제 질량이 아니다.( 참고: amu https://ywpop.tistory.com/6741 )   원자량 척도의 기준인탄소 원자(C) 1개의 질량을 12 라 가정하고 계산한그 원자의 상대적인 질량이다.( 참고: 기준 원자량 https://ywpop.tistory.com/8023 )       단위가 없는 물질의 질량은그저 이론상에서나 따지는 것이고,이런 문제와 같이실제 우리가 따지는 물질의 질량은g과 같은 단위가 있는 질량이다.       단위가 있는 원자의 질량, 또는단위가 g인 원자의.. 2025. 1.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