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2장] 원자, 분자, 이온202

이온 결합 화합물의 화학식. KCl NaF CaCl2 Al2O3 Na2O MgO 이온 결합 화합물의 화학식. KCl NaF CaCl2 Al2O3 Na2O MgO이온 결합의 화학적 표현 ------------------------ (알고 보면 아주 쉬운)이온 결합의 화학적 표현을이해하는 게 어렵다면,아래 2개의 참고를 천천히 정독한 후에풀이를 보세요. [참고] 이온 전하 암기[ https://ywpop.tistory.com/24581 ] ---> 가령, Al의 이온식이 Al^3+가 된다는 것과O의 이온식이 O^2-가 된다는 것을이해했다면(암기했다면),아래 참고를 보세요. [참고] 이온결합 화합물 화학식 쓰기[ https://ywpop.tistory.com/7156 ] K^+ + Cl^- → KCl(+1) + (–1) = 0---> .. 2025. 6. 10.
Cl2 분자의 양이 x mol이면 Cl 원자의 양은 2x mol Cl2 분자의 양이 x mol이면 Cl 원자의 양은 2x mol ------------------------ [그림] Lewis structure of Cl2. Cl2 분자 1개는, 즉Cl–Cl 분자 1개는Cl 원자 2개로 이루어져 있다. Cl2 분자 1개 만들려면,Cl 원자 2개가 필요하다. Cl + Cl → Cl2 Cl2 분자 : Cl 원자 = 1 : 2 개수비(= 몰수비) Cl2 분자 x개는Cl 원자 2x개로 이루어져 있다. Cl2 분자 x mol은Cl 원자 2x mol로 이루어져 있다.---> Cl2 분자의 양이 x mol이면,Cl 원자의 양은 2x mol이다. [ 관련 글 https://ywpop.t.. 2025. 5. 27.
35Cl의 존재 비율. 35Cl (34.96885 amu) 37Cl (36.96590 amu) 35.460 amu 35Cl의 존재 비율. 35Cl (34.96885 amu) 37Cl (36.96590 amu) 35.460 amu 양성자 수가 17로 동일한 원소35Cl (34.96885 amu), 37Cl (36.96590 amu)가 있다.이 원소의 평균 원자 질량이 35.460 amu일 때,35Cl의 존재 비율을 구하시오. ------------------------ 35Cl의 존재 비율 = x 라 두면,37Cl의 존재 비율 = (1 – x) 이므로, 원자량 = 동위원소의 평균 원자량= Σ [ (동위원소의 질량) × (동위원소의 존재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85 ) 35.460 = 34.96885x + 36.96590(1 – x)= 34.96.. 2025. 4. 25.
[산소산 명명법] 기준 산소산. 산소산의 기준 [산소산 명명법] 기준 산소산. 산소산의 기준 황(S)의 산소산은 H2SO4가 기준이고,염소(Cl)의 산소산은 HClO3가 기준인 이유 ------------------------ [1] 산소산의 기준 선정 원리 산소산(oxoacid)은 산소를 포함하는 산으로,화학식은 보통 H–X–O 형태를 가진다.( X = 중심 원자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323 ) 중심 원자인 X가 여러 산화수를 가질 수 있을 때다양한 산소산을 형성하게 되는데,이때 기준이 되는 산소산이 정해진다. [2] 기준 산소산 선정의 원칙(이유) 중심 원자인 X가가장 일반적인(= 가장 흔한)원자가(산화수)를 가진 산소산을기준으로 한다. 중심 원자인 X가가장 일반적.. 2025. 4. 23.
과산화 이온, O2^2-는 다원자 이온 과산화 이온, O2^2-는 다원자 이온 과산화 이온, O2^2-는 일원자 이온인가? 다원자 이온인가? ------------------------ [참고] 단원자 이온과 다원자 이온[ https://ywpop.tistory.com/22146 ] 과산화 이온, O2^2-는O–O 결합을 가지므로,( O 원자가 2개이므로, ) 다원자 이온입니다. [그림] Lewis structure for O2^2-. [ 관련 글 https://namu.wiki/w/이온식 ]이온식 [키워드] 과산화 이온 기준, 과산화이온 기준, O2^2- 기준, 과산화 이온은 다원자 이온 기준, 과산화이온은 다원자이온 기준, O2^2- 루이스 기준, 과산.. 2025. 4. 15.
화학식의 이해. 2NaCl과 Na2Cl2 화학식의 이해. 2NaCl과 Na2Cl2Na2SO4 + BaCl2 → BaSO4 + 2NaCl   ------------------------   Na2SO4 + BaCl2 → BaSO4 + 2NaCl반응식에서,일단 위에 나온 4가지 물질들은모두 이온결합 화합물임을 알아야 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36 )       둘째,이온결합 화합물의 화학식은실험식과 같다.이 말이 뭔 소리인가 하면,이온결합 화합물의 화학식은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단)의 종류를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91 )   이 때문에,Na2Cl2가 아닌 NaCl로 나타내는 것이고,NaCl로 나타내면,반응 전/후 ‘화살표(→)’ 양쪽의Na의.. 2025. 4. 13.
메탄의 실험식과 분자식 메탄의 실험식과 분자식메테인의 실험식과 분자식   ------------------------   [참고] 실험식과 분자식[ https://ywpop.tistory.com/2391 ]       메테인을 구성하는 원자의 가장 작은 정수비,C : H = 1 : 4 이므로,메테인의 실험식 = CH4---> 실험식량 = (C) + 4(H) = (12) + 4(1) = 16       메테인의 분자량 = 16 이므로,실험식량 = 분자량       따라서메테인의 분자식 = 실험식= CH4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4 ]원소분석 및 질량분석 결과로부터 분자식 구하기       [키워드] 메탄의 실험식 기준, 메테인의 실험식 기준, 메탄의 분자식 .. 2025. 4. 12.
질량수가 1인 H 원자 1개의 질량 질량수가 1인 H 원자 1개의 질량     질량수가 1인 수소 원자 1개의 질량을 구하시오.   ------------------------   질량수가 1인 수소= 양성자 1개 + 전자 1개       > 양성자 1개의 질량 = 1.673×10^(-27) kg> 전자 1개의 질량 = 9.109×10^(-31) kg(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 )       (1.673×10^(-27) kg) + (9.109×10^(-31) kg)= 1.674×10^(-27) kg   또는(1.674×10^(-27) kg) (1000 g / 1 kg)= 1.674×10^(-24) g---> 질량수가 1인 수소 원자 1개의 질량         [참고] 원자량이 1인 수소 원자 .. 2025. 4. 8.
질소화 구리(II) PbI2 chromic sulfide FeO 질소화 구리(II) PbI2 chromic sulfide FeO     다음 화합물의 계통명 또는 이름에 해당하는 화학식을 써라.a) 질소화 구리(II) b) PbI2 c) chromic sulfide d) FeO   ------------------------   [참고] 이온 결합 화합물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4729 ]       a) 질소화 구리(II)> Cu3N2       b) PbI2> 요오드화 납(II)       c) chromic sulfide (옛날식 명명법)( 참고 https://ywpop.tistory.com/8745 )   > chromium(III) sulfide> Cr2S3       d) FeO> 산화 철(II)     .. 2025. 3. 29.
NO3^- 이온의 이온전하가 –1인 이유 NO3^- 이온의 이온전하가 –1인 이유   ------------------------   [참고] NO3^- 이온은 다원자 이온[ https://ywpop.tistory.com/2968 ]       NO3^- 이온의 이온전하가 –1인 이유는HNO3 화합물에서 H가 이온화될 때,O와 H 사이의 공유 전자쌍을O에게 주고 이온화되기 때문이다.               [그림] HNO3의 루이스 구조.( 참고 https://ywpop.tistory.com/7669 )       O와 H 사이의 공유 전자쌍 중,즉 2개 전자 중 1개 전자는 H의 전자이므로,전자 1개를 잃은 H는 H^+ 양이온이 되고,전자 1개를 얻은 NO3는 NO3^- 음이온이 된다.   HNO3 → H^+ + NO3^-.. 2025.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