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화학분석기사262

1.0 cm 셀 몰흡광계수 5.0×10^3 L/mol•cm 2.0×10^(-4) M 1.0 cm 셀 몰흡광계수 5.0×10^3 L/mol•cm 2.0×10^(-4) M 1.0 cm 두께의 셀(cell)에 몰 흡광계수가 5.0×10^3 L/mol•cm인 표준시료 2.0×10^(-4) M 용액을 넣고 측정하였다. 이때 투과도는 얼마인가? 1.0 cm 두께의 셀(Cell)에 몰흡광계수가 5.0×10^3 L/molㆍcm인 표준시료 2.0×10-4 M 용액을 넣고 측정하였다. 이 때 투과도는 얼마인가? ① 0.1 ② 0.4 ③ 0.6 ④ 1.0 --------------------------------------------------- 흡광도, A = εbC 또는 A = ε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905 ) = (5.0×10^3 L/molㆍcm) (2.0×.. 2023. 2. 27.
15 ppb 벤젠 수용액의 몰농도 15 ppb 벤젠 수용액의 몰농도 유해물질인 벤젠(분자량=78.1)이 하천에 무단 방출되어 이를 측정한 결과 15 ppb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농도를 몰농도로 바꾸면 약 얼마인가? ① 1.9 x 10-6 M ② 1.9 x 10-7 M ③ 1.9 x 10-10 M ④ 1.9 x 10-13 M --------------------------------------------------- 15 ppb = (15 g 벤젠 / 10^9 g 수용액) × 10^9 ( 참고: ppb 정의 https://ywpop.tistory.com/2657 ) 15 g 벤젠의 몰수 = 15 g / (78.1 g/mol) = 0.192 mol 벤젠 (용질) 수용액의 밀도 = 물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면, 10^9.. 2023. 2. 27.
CH3COOCH2CH3 를 특성기에 따라 분류 CH3COOCH2CH3 를 특성기에 따라 분류 CH3COOCH2CH3 를 특성기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① 카복시산류 ② 에스테르류 ③ 알데하이드류 ④ 에테르류 --------------------------------------------------- CH3COOCH2CH3 를 특성기에 따라 분류 R–COO–R’ ---> 에스테르 답: ② 에스테르류 [참고] ① 카복시산류: R–COOH ③ 알데하이드류: R–CHO ④ 에테르류: R–O–R’ ( 참고: 주요 작용기 https://ywpop.tistory.com/2210 ) 2023. 2. 27.
30 g 에탄올 + 100 g 물 용액의 증기압 내림 30 g 에탄올 + 100 g 물 용액의 증기압 내림휘발성 용질을 포함하는 용액의 증기압 내림     25℃에서 에틸알코올(C2H5OH) 30 g 을물 100.0 g 에 녹여 만든 용액의 증기압(mmHg)은 얼마인가?(단 25℃에서 순수한 물의 증기압은 23.88 mmHg 이고순수한 에틸알코올에 대한 증기압은 61.2 mmHg 이다.)① 24.5 mmHg② 27.7 mmHg③ 36.8 mmHg④ 52.3 mmHg       각 물질의 몰수를 계산한다.   C2H5OH의 몰질량 = 46.07 g/mol 이므로,30 g / (46.07 g/mol) = 0.65118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H2O의 몰질량 = 18.015 g/mol 이므로,100.0 / .. 2023. 2. 27.
0.030 M NaI를 포함한 PbI2의 몰용해도 0.030 M NaI를 포함한 PbI2의 몰용해도 난용성염의 용해도와 공통이온효과 용해도곱(solubility product)은 고체염이 용액 내에서 녹아 성분 이온으로 나뉘는 반응에 대한 평형 상수로 Ksp로 표시한다. PbI2는 다음과 같은 용해 반응을 나타내고, 이 때, Ksp는 7.9×10^(-9) 이다. 0.030 M NaI를 포함한 수용액에 PbI2를 포화상태로 녹일 때, Pb^2+의 농도는 몇 M인가? (단, 다른 화학반응은 없다고 가정한다.) ① 7.9×10^-9 ② 2.6×10^-7 ③ 8.8×10^-6 ④ 2.0×10^-3 --------------------------------------------------- PbI2의 용해도 평형과 평형 상수, Ksp PbI2(s) ⇌ Pb^2+.. 2023. 2. 27.
2×10-5 M KMnO4 1.5 cm 520 nm 투광도 0.60 2×10-5 M KMnO4 1.5 cm 520 nm 투광도 0.60 2×10-5 M KMnO4 용액을 1.5 cm의 셀에 넣고 520 nm에서 투광도를 측정하였더니 0.60을 보였다. 이 때 KMnO4의 몰 흡광계수는 약 몇 L/cmㆍmol인가? ① 1.35×10-4 ② 5.0×10-4 ③ 7395 ④ 20000 --------------------------------------------------- 흡광도, A = εbC 또는 A = εC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905 ) A = –log(T) = –log(0.60) = 0.221849 ε = A / CL = 0.221849 / [(2×10^(-5)) (1.5)] = 7395 /M•cm = 7395 L/mol•c.. 2023. 2. 26.
13.58 g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5.03 g tris hydrochloride 13.58 g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5.03 g tris hydrochloride 13.58 g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분자량=121.14)와 5.03 g tris hydrochloride(분자량=157.60)를 혼합한 수용액 100 L에 1.00 M 염산 10.0 mL을 첨가하였을 때의 pH는 약 얼마인가? (단, tris 짝산의 pKa = 8.072이다.) 13.58 g의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분자량=121.14)와 5.03 g의 tris hydrochloride(분자량=157.60)를 혼합한 수용액 100 L에 1.00 M 염산 10.0 mL을 첨사하였을 때의 pH는 약 얼마인가? (단, tr.. 2023. 2. 26.
산소가 20 mol%, 질소가 30 mol%, 수소가 50 mol% 산소가 20 mol%, 질소가 30 mol%, 수소가 50 mol% 산소가 20 mol%, 질소가 30 mol%, 수소가 50 mol%로 구성된 기체 혼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얼마인가? 산소가 20 mol%, 질소가 30 mol%, 수소가 50 mol%로 구성된 기채 혼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얼마인가? ① 8.3 g/mol ② 15.8 g/mol ③ 28.5 g/mol ④ 37.6 g/mol --------------------------------------------------- 기체 혼합물이 1 mol 있다면, 기체 혼합물 1 mol당 질량을 계산하면, (32 g/mol) (0.20 mol) + (28 g/mol) (0.30 mol) + (2 g/mol) (0.50 mol) = (32) (0.20) +.. 2023. 2. 26.
한 수저는 금으로 도금, 다른 수저는 구리로 도금 한 수저는 금으로 도금, 다른 수저는 구리로 도금 한 수저는 금으로 도금하고, 다른 수저는 구리로 도금하고자 한다. 만약 발전기에서 나오는 일정한 전류를 두 수저를 도금하는데 사용하였다면, 어느 수저에 먼저 1 g이 도금되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단, 금의 원자량은 197, 구리의 원자량은 63.5이며, 반쪽 환원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Au^3+(aq) + 3e^- → Au(s) ... E° = 1.50 V Cu^2+(aq) + 2e^- → Cu(s) ... E° = 0.34 V ① 금 수저-금의 원자량이 더 크기 때문이다. ② 금 수저-금이 더 많은 전자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③ 구리 수저-구리가 기전력으로 더 낮기 때문이다. ④ 구리 수저-구리가 더 적은 전자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 2023. 2. 25.
화합물 OH–CH2–CH2Cl의 적외선 스펙트럼 화합물 OH–CH2–CH2Cl의 적외선 스펙트럼 화합물 OH-CH2-CH2Cl의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관찰되지 않은 봉우리의 영역은? ① 800 cm-1 ② 1700 cm-1 ③ 2900~3000 cm-1 ④ 3200 cm-1 --------------------------------------------------- 답: ② 1700 cm-1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C=O, 카르보닐 신축 진동 피크는 가장 강하면서도 뾰족하기 때문에, 놓칠려고 해도 도저히 놓칠 수 없는데, 1700 cm-1 영역에서 관찰된다. 이 때문에 적외선 스펙트럼의 해석은 1700 cm-1 영역부터 확인하면서 시작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14 ) 2023. 2.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