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

무게 적정법. NaOH 용액을 프탈산수소포타슘(KHP)으로 표준화

by 영원파란 2018. 5. 28.
728x170

무게 적정법. NaOH 용액을 프탈산수소포타슘(KHP)으로 표준화

 

 

무게 적정법. NaOH 용액을 기지의 일차 표준물질,

프탈산 수소 포타슘으로 표준화하였다.

R–COOH + NaOH → R–COONa + H2O

 

 

 

그 다음 NaOH 용액을 사용하여

미지의 황산 용액을 표준화하였다.

H2SO4 + 2NaOH → Na2SO4 + H2O

 

a) 프탈산 수소 포타슘 0.824 g을 적정하는 데에는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사용하여 종말점을 결정하였을 때

NaOH 용액 38.314 g이 필요하였다.

NaOH의 농도를 구하시오 (mol NaOH/kg 용액).

 

b) H2SO4 용액 10.063 g을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사용하여 종말점을 결정하니

NaOH 용액 57.911 g이 필요하였다.

H2SO4의 농도를 구하시오 (mol H2SO4/kg 용액).

 

 

A solution of NaOH was standardized by gravimetric titration of a known quantity of the primary standard,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FM 204.233

 

The NaOH was then used to find the concentration of an unknown solution of H2SO4:

 

a) Titration of 0.824 g of potassium hydrogen phthalate required 38.314 g of NaOH solution to reach the end point as detected by phenolphthalein indicator.

Find the concentration of NaOH (mol NaOH/kg solution).

 

 

 

[참고] 용액의 농도 단위가

‘용질 mol수 / 용액 L수’ 대신

‘용질 mol수 / 용액 kg수’ 이라고 해서

달라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왜냐하면, 어차피 중화반응은

용액의 양이 아니라,

산과 염기의 양으로

mol : mol 반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냥 몰농도(mol/L) 사용하듯이,

MV = M’V’ 또는 aMV = bM’V’ 공식을 사용하면 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300x250

 

 

a) 프탈산 수소 포타슘 0.824 g 적정에

NaOH 용액 38.314 g 소비.

 

프탈산 수소 포타슘 0.824 g의 몰수를 계산하면,

0.824 g / (204.233 g/mol) = 0.0040346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R–COOH + NaOH → R–COONa + H2O

 

R–COOH : NaOH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즉, 1가산과 1가염기가 반응하므로,

간단한 MV = M’V’ = mol 공식을 사용하면,

( 농도 단위가 mol/kg 이므로,

용액의 부피 대신 용액의 질량을 사용한다. )

 

0.0040346 mol = (M’) (0.038314 kg)

 

M’ = 0.0040346 mol / 0.038314 kg

= 0.1053 mol/kg

= 0.1053 mol NaOH/kg solution

 

 

 

 

b) H2SO4 용액 10.063 g 적정에

NaOH 용액 57.911 g 소비.

 

H2SO4 + 2NaOH → Na2SO4 + H2O

 

H2SO4 : NaOH = 1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즉, 2가산과 1가염기가 반응하므로,

aMV = bM’V’ 공식을 사용하면,

 

aMV = bM’V’

H^+의 몰수 = OH^-의 몰수

 

(2) (M) (10.063 g) = (1) (0.1053 mol/kg) (57.911 g)

 

M = [(1) (0.1053) (57.911)] / [(2) (10.063)]

= 0.3030 mol/kg

= 0.3030 mol H2SO4/kg solution

 

 

 

[팁] 양쪽 용액의 질량 단위가 g으로 같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굳이 kg으로 환산해서 계산할 필요는 없다.

(2) (M) (0.010063 kg) = (1) (0.1053 mol/kg) (0.057911 kg)

 

M = [(1) (0.1053) (0.057911)] / [(2) (0.010063)]

= 0.3030 mol/kg

 

 

 

답:

a) 0.1053 mol NaOH/kg solution

b) 0.3030 mol H2SO4/kg solution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8263 ]

0.50 g의 프탈산 수소 포타슘을 적정하기 위하여 제조한 NaOH 수용액 25.0 mL가 소모되었다면 NaOH 수용액의 농도는?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2023/09/h2so4-1500-ml-0147-m-naoh-3642-ml.html ]

aMV = bM’V’. H2SO4 15.00 mL + 0.147 M NaOH 36.42 mL

 

 

 

[키워드] 프탈산 수소 포타슘 + NaOH 적정 기준문서, 프탈산 수소 포타슘 + NaOH 기준문서, KHP + NaOH 적정 기준문서, KHP + NaOH 기준문서, 프탈산 수소 포타슘 + NaOH 적정 사전, 프탈산 수소 포타슘 + NaOH 사전, KHP + NaOH 적정 사전, KHP + NaOH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