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질산칼륨, KNO3의 산화수
---------------------------------------------------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 https://ywpop.tistory.com/2719 ]
---------------------------------------------------
KNO3(aq) → K^+(aq) + NO3^-(aq)
와 같이 이온화 되므로,
> K의 산화수 = +1.
> NO3의 산화수 = –1.
( 참고: NO3^-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9087 )
또는
원자단인 질산 이온(NO3^-)의 산화수 = –1 이므로,
( 참고: 원자단 https://ywpop.tistory.com/2968 )
(K) + (NO3) = 0
(K) + (–1) = 0
따라서
K의 산화수 = +1.
또는
KNO3 에서,
K의 산화수 = +1 (넘버 1) 이고,
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
(K) + (N) + 3(O) = 0
(+1) + (N) + 3(–2) = 0
따라서
N의 산화수 = +5.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590 ] Cu(NO3)2의 산화수
[키워드] KNO3의 산화수 기준문서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04장] 수용액 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화합물에서 탄소의 산화수 계산 ★ (2) | 2017.10.30 |
---|---|
산화-환원 반응에서 산화제와 환원제 찾기 ★ (0) | 2017.10.20 |
2 M H2SO4 용액 10 mL 중화에 필요한 1 M NaOH 용액의 양(mL) (1) | 2017.10.18 |
Cr2(SO4)3의 산화수 (0) | 2017.10.13 |
Cu(NO3)2의 산화수 (2) | 2017.09.26 |
redox Fe + HCl (0) | 2017.06.29 |
강산과 약산. 강염기와 약염기 ★ (0) | 2017.06.28 |
산-염기 반응. 염을 생성하지 않는, 기체가 생성되는 ★ (0) | 2017.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