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

화학량론. 2Hg + O2 → 2HgO

by 영원파란 2016. 3. 24.

AdSense@ywpop

728x170

화학량론. 2Hg + O2 2HgO

 

 

114.0 g의 수은 시료와 12.8 g의 산소 기체를 반응시켜

123.1 g의 산화수은(II)을 얻었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남아있는 산소는 몇 g?

 

---------------------------------------

 

균형 맞춘 반응식

2Hg + O2 2HgO

 

수은의 몰질량 = 200.59 g/mol 이므로,

수은 114.0 g의 몰수를 계산하면,

= 114.0 g / (200.59 g/mol) = 0.5683 mol Hg

 

산소 12.8 g의 몰수를 계산하면,

= 12.8 g / (32.0 g/mol) = 0.4 mol O2

 

수은이 한계시약이므로,

수은 0.5683 mol과 반응하는 산소의 몰수를 계산하면,

Hg : O2 = 2 : 1 = 0.5683 mol : ? mol

? = 0.5683 / 2 = 0.2842 mol O2

 

산소의 몰수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2842 mol * (32.0 g/mol) = 9.094 g O2

 

반응한 산소의 질량이 9.094 g 이므로, 남아있는 산소는

12.8 g - 9.094 g = 3.706 g

 

: 3.7 g

 

 

[참고]

산화수은(II)의 몰질량 = 216.59 g/mol 이므로,

생성된 123.1 g의 몰수를 계산하면,

123.1 g / (216.59 g/mol) = 0.5684 mol HgO

Hg : HgO = 1 : 1 = 0.5683 mol : 0.5684 mol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