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량론. 2Hg + O2 → 2HgO
114.0 g의 수은 시료와 12.8 g의 산소 기체를 반응시켜
123.1 g의 산화수은(II)을 얻었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남아있는 산소는 몇 g?
---------------------------------------
균형 맞춘 반응식
2Hg + O2 → 2HgO
수은의 몰질량 = 200.59 g/mol 이므로,
수은 114.0 g의 몰수를 계산하면,
= 114.0 g / (200.59 g/mol) = 0.5683 mol Hg
산소 12.8 g의 몰수를 계산하면,
= 12.8 g / (32.0 g/mol) = 0.4 mol O2
수은이 한계시약이므로,
수은 0.5683 mol과 반응하는 산소의 몰수를 계산하면,
Hg : O2 = 2 : 1 = 0.5683 mol : ? mol
? = 0.5683 / 2 = 0.2842 mol O2
산소의 몰수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2842 mol * (32.0 g/mol) = 9.094 g O2
반응한 산소의 질량이 9.094 g 이므로, 남아있는 산소는
12.8 g - 9.094 g = 3.706 g
답: 3.7 g
[참고]
산화수은(II)의 몰질량 = 216.59 g/mol 이므로,
생성된 123.1 g의 몰수를 계산하면,
123.1 g / (216.59 g/mol) = 0.5684 mol HgO
Hg : HgO = 1 : 1 = 0.5683 mol : 0.5684 mol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분해의 화학량론. 10 A 1시간 Cu mol수 (1) | 2016.03.25 |
---|---|
pH 5.0 완충용액. 젖산(lactic acid)과 젖산염의 비율? (0) | 2016.03.24 |
0.20 M BaCl2 용액 50.0 mL 만들기. BaCl2*2H2O 수화물 (0) | 2016.03.24 |
BaCl2*2H2O 시약으로 12.0% BaCl2 용액 50 g 만들기 (0) | 2016.03.24 |
열용량과 비열 (0) | 2016.03.24 |
95% 황산으로 64% 황산 100 mL 만들기 (1) | 2016.03.23 |
[화학2] 이상기체방정식. 기체의 밀도 (0) | 2016.03.23 |
몰농도로부터 용질의 질량 계산 (1) | 2016.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