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redox Hg + 2FeCl3 → HgCl2 + 2FeCl2
아래의 반응식은 염화철을 이용하여 수은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각 단계에서의 산화 또는 환원 과정을 밝히고
전자 이동에 관해서 서술하시오.
Hg + 2FeCl3 → HgCl2 + 2FeCl2
------------------------
▶ 산화: Hg → HgCl2
> Hg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증가, Hg는 산화되었다.
> Hg → Hg^2+ + 2e^-
( 참고: HgCl2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23231 )
▶ 환원: 2FeCl3 → 2FeCl2
> Fe의 산화수는 +3에서 +2로 감소, FeCl3는 환원되었다.
> 2Fe^3+ + 2e^- → 2Fe^2+
( 참고: FeCl3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9845 )
▶ 전자 이동
> Hg가 내놓은 전자 2개를 Fe^3+가 받았다.
> 전자는 Hg에서 Fe^3+로 이동했다.
( 전자는 Hg에서 FeCl3로 이동했다. )
[키워드] redox Hg + FeCl3, redox FeCl3 + Hg, redox Hg → HgCl2, redox FeCl3 → FeCl2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20장] 전기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ox balance. HAsO3^2- + I2 + HCO3^- → HAsO4^2- + I^- + CO (2) | 2025.05.02 |
---|---|
redox balance. Cu2O + NO3^- + H^+ → Cu^2+ + NO + H2O (2) | 2025.03.19 |
redox balance. HI + H2O2 → I2 + H2O (5) | 2025.01.30 |
30℃에서 다음 전지 반응에 대한 E°, E, ΔG 계산 (6) | 2025.01.16 |
산소 기체와 물이 철을 녹슬게 하는 부식 반응에 대한 설명 (1) | 2024.12.23 |
redox Cu2O + NO3^- + H^+ → Cu^2+ + NO + H2O (1) | 2024.12.23 |
기전력 계산. Mn(s) | Mn^2+(1 M) || Ag^+(1 M) | Ag(s) (1) | 2024.12.08 |
평형상수 계산. 2Ag(s) + Fe^2+(aq) ⇌ 2Ag^+(aq) + Fe(s) (1) | 2024.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