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 L 만들기
(가) 2 M NaOH 수용액 100 mL
(나) 1 M NaOH 수용액 x mL
(다) 5 M NaOH 수용액 1000 mL
(가) + (나) + 증류수 = (다)
0.5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 L를 만들기 위해,
(나)의 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몇 mL 취해야 하는지 구해 보자.
------------------------
2 M NaOH 수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NaOH(용질)의 몰수
= (2 mol/L) (0.1 L) = 0.2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5 M NaOH 수용액 1000 mL에 들어있는
NaOH(용질)의 몰수
= (0.5 mol/L) (1 L) = 0.5 mol
(가)에 들어있는 NaOH(용질)의 몰수
+ (나)에 들어있는 NaOH(용질)의 몰수
= (다)에 들어있는 NaOH(용질)의 몰수
0.2 mol + ? mol = 0.5 mol
? = 0.3 mol
---> (나)에 들어있는 NaOH(용질)의 몰수
0.3 mol NaOH를 포함하는
1 M NaOH 수용액의 부피를 계산하면,
(1 mol/L) (x L) = 0.3 mol
x = 0.3 / 1
= 0.3 L
= 300 mL
답: 300 mL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9420 ]
M1V1 + M2V2 = M3V3
[키워드] 혼합용액 법칙 기준, 혼합용액 공식 기준
'화학 > 용액의 농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5% w/w NiCl2 (129.61 g/mol) 용액의 밀도는 1.149 g/mL (3) | 2025.04.25 |
---|---|
0.002 N NaOH 용액의 pH (4) | 2025.04.17 |
오렌지주스 제조 과즙 50 kg 당도 7%를 15%로 (1) | 2025.04.14 |
0.2 M HCl 1000 mL 제조에 필요한 36.5% HCl(d 1.25)의 부피(mL) (2) | 2025.04.13 |
18℃, 1기압에서 100 ppm 크실렌의 mg/m3 농도 (2) | 2025.04.12 |
0℃, 760 mmHg에서 10 mg/m3 CS2의 ppm 농도 (1) | 2025.04.12 |
소금물 300 g에 물 20 g과 소금 15 g을 넣어 12% 소금물 (1) | 2025.04.12 |
0.1 M 수용액 100 mL로 0.01 M 수용액 100 mL 만들기 (2) | 2025.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