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C2H4 가스와 O2 가스가 반응하여
CO2와 H2O가 생성되는 반응에서,
28 g의 C2H4와 128 g의 O2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CO2가 70.4 g 얻어졌다면
반응의 수득률(%)은?
------------------------
C2H4의 몰질량 = 2(12) + 4(1) = 28 g/mol 이므로,
28 g의 C2H4의 몰수
= 28 g / (28 g/mol)
= 1 mol C2H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
128 g의 O2의 몰수
= 128 / 32
= 4 mol O2
C2H4 연소 반응식
C2H4 + 3O2 → 2CO2 + 2H2O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8397 )
C2H4 : O2 = 1 : 3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1 mol C2H4와 반응하는
O2의 몰수 = 3 mol.
---> C2H4는 전부 다 반응하고,
O2는 1 mol이 남는다.
---> 한계 반응물은 C2H4, 과잉 반응물은 O2.
( 참고: 한계 반응물 https://ywpop.tistory.com/3318 )
생성물의 양은 한계 반응물의 양에 의해 결정되고,
C2H4 : CO2 = 1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1 mol C2H4 반응 시,
생성되는 CO2의 몰수 = 2 mol.
CO2의 몰질량 = (12) + 2(16) = 44 g/mol 이므로,
2 mol CO2의 질량
= 2 mol × (44 g/mol)
= 88 g CO2
---> 이론적 수득량
수득률 = (실제 수득량 / 이론적 수득량)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1 )
= (70.4 g / 88 g) × 100
= 80%
답: ③ 80%
[키워드] 수율 기준
'일반화학 > [03장] 화학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 (1) | 2025.02.23 |
---|---|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2) | 2025.02.22 |
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 (2) | 2025.02.17 |
미정계수법.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7) | 2025.02.14 |
미정계수법. C2H5OH + xO2 → 2(___) + xH2O (2) | 2025.02.14 |
분자의 몰수와 원자의 몰수 (4) | 2025.02.01 |
전체 원자의 몰수 = 분자의 몰수 × 분자당 원자수 (1) | 2025.01.29 |
원자 1개의 질량. 원자량 / N_A 계산 (1) | 2025.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