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03장] 화학량론

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

by 영원파란 2025. 2. 17.

AdSense@ywpop

728x170

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

 

------------------------

 

NaCl은 이온결합 화합물이므로,

아래 그림과 같은 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1 mol = 6.022×10^23 개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1 mol NaCl 속에는

(Na^+) (Cl^-), 요런 이온쌍

6.022×10^23 개 들어있다.

즉, NaCl이 6.022×10^23 개 들어있다.

 

 

 

따라서

1 mol NaCl 속에는

Na^+ 이온이 1 mol,

Cl^- 이온이 1 mol 해서,

전체 이온은 2 mol 들어있다.

 

 

 

따라서

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는

2 mol × (6.022×10^23 개 / 1 mol)

= 1.2044×10^24 개

 

 

 

답: 1.2044×10^24 개

 

 

 

 

[참고] 몰수, 개수와 같이,

화학량론을 따질 때는

화학식과 같은(화학식에 나오는) 물질이

그만큼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이때는

분자이거나, 분자가 아니거나, 상관이 없다.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의 화학식은 CO2이므로,

CO2 1 mol 속에는

CO2가 6.022×10^23 개 들어있고,

 

염화나트륨의 화학식은 NaCl이므로,

NaCl 1 mol 속에는

NaCl이 6.022×10^23 개 들어있다.

 

 

 

단지,

CO2는 분자라서, 또한 기체라서,

CO2 1개 1개가 따로 서로 멀리 떨어져서 존재하고,

NaCl은 이온결합 화합물이라서, 또한 고체라서,

NaCl 1개 1개가 바짝 붙어서 ‘다닥다닥’ 존재하고 있을 뿐이다.

 

 

 

 

[키워드] 이온결합 화합물의 몰수 기준, 이온결합 물질의 몰수 기준, NaCl의 몰수 기준, 이온결합 화합물의 몰수 사전, 이온결합 물질의 몰수 사전, NaCl의 몰수 사전, NaCl 격자구조 기준, NaCl 격자구조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