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03장] 화학량론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

by 영원파란 2025. 2. 23.

AdSense@ywpop

728x170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

분자량과 1 g당 분자 수

 

------------------------

 

이런 게 이해가 안 되면,

그냥 한 번 계산해 보는 겁니다.

 

 

 

가령,

H2O의 몰질량(= 분자량) = 18 g/mol 이고,

CO2의 몰질량 = 44 g/mol 이므로,

( 참고: 몰질량 https://ywpop.tistory.com/11196 )

 

 

 

1 g H2O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

(1 g) (1 mol / 18 g) (6×10^23 개 / 1 mol)

= (1) (1 / 18) (6×10^23)

= 3.33×10^22 개

---> H2O 1 g당 H2O 분자의 수

 

 

 

1 g CO2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

(1 g) (1 mol / 44 g) (6×10^23 개 / 1 mol)

= (1) (1 / 44) (6×10^23)

= 1.36×10^22 개

---> CO2 1 g당 CO2 분자의 수

 

 

 

분자량이 더 큰 CO2의

1 g당 분자 수가 더 적다.

 

 

 

 

[키워드] 1 g당 분자 수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