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84 [Fe(H2O)6]^2+ 착이온은 상자기성 물질 [Fe(H2O)6]^2+ 착이온은 상자기성 물질 --------------------------------------------------- ▶ 참고: Magnetic properties of high-spin, low-spin complexes, d^6 [ https://ywpop.tistory.com/2909 ] --------------------------------------------------- ▶ Fe의 바닥상태 전자배치: [Ar] 3d^6 4s^2 ▶ [Fe(H2O)6]^2+ 착이온에서, Fe의 산화수 = +2 이므로, > Fe^2+의 전자배치: [Ar] 3d^6 ( 착이온을 형성하기 전, Fe^2+ 금속 이온의 전자배치 ) -----------------------------------.. 2018. 11. 26. 염화아연에는 왜 염화아연(II)처럼 로마숫자를 안 붙일까 염화아연에는 왜 염화아연(II)처럼 로마숫자를 안 붙일까? 브로민화아연에는 왜 브로민화아연(II)처럼 로마숫자를 안 붙일까?zinc chloride, zinc bromide 전이금속 화합물 명명법에서전이금속 다음에 로마숫자를 붙이는 이유는화합물 이름만으로는 화학식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12 ) 예) cobalt chloride라고 쓰면,CoCl2인지, CoCl3인지 알 수 없다. 1) Zn이 비록 전이금속이지만Zn의 이온 전하(산화수)가 +2 하나뿐이라서,예외적으로 로마숫자를 붙이지 않는다.즉, zinc chloride라는 이름만으로도ZnCl2인지 알 수 있다. 2) 이런 이유 등으로,Zn은 교재(.. 2018. 4. 16. 배위화학. 배위화합물(coordination compound), 착물(complex) 배위화학. 배위화합물(coordination compound), 착물(complex) ---------------------------------------------------▶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9815 ]--------------------------------------------------- ▶ 수소 분자(H–H) 또는 염산 분자(H–Cl)와 같이,양쪽에서 자신의 전자를 각각 1개씩 내놓아 결합한 형태의 결합---> 공유 결합( 참고: 3가지 화학결합 https://ywpop.tistory.com/3036 ) ▶ Lewis 산-염기와 같이,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에게) 자신의 전자쌍을 제공하여 결합한 .. 2017. 10. 8. 전이 원소. 전이 금속. transition metals ★ 전이 원소. 전이 금속. transition metals ---------------------------------------------------▶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9815 ]--------------------------------------------------- ▶ 전이원소의 정의> 중성 원자일 때나 양이온이 되었을 때,d 오비탈에 전자가 부분적으로 채워진 원소( d 오비탈에 9개 이하의 전자가 존재하는 원소 ) ▶ The IUPAC definition defines a transition metal as“an element whose atom has a partially filled d sub.. 2017. 6. 14. 착 이온(complex ion)과 배위 화합물(coordination compound) 착 이온(complex ion)과 배위 화합물(coordination compound) ▶ 전이금속 이온에 중성 분자 또는 이온이 배위 공유 결합하여 이루어진 이온을 착이온이라고 한다.이때 전이금속 이온에 배위 공유 결합하는 중성 분자 또는 이온을 리간드(ligand)라고 한다. ▶ 그리고 착이온에 반대로 하전된 이온이 이온 결합하여 이루어진 중성 화합물을 배위 화합물이라고 한다. ▶ 그러나 배위 화합물의 핵심(중심)은 착이온이므로, 다음 용어들은 모두 같은 의미로 구분 없이 사용된다. complex ion (착이온)≡ complex (착물)≡ coordination compound (배위 화합물) [ 관련 글 https://.. 2017. 6. 12. d 오비탈 분리. 결정장 분리 (Crystal Field Splitting) d 오비탈 분리. 결정장 분리 (Crystal Field Splitting) 착물을 형성할 때 전이 금속 이온의 d 오비탈이 분리되는 이유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9815 ] [ 그림 출처 Wikimedia ] d orbitals.5개 d 오비탈의 공간 배향. 중심 금속 이온과 정팔면체를 형성하려고 6개 리간드가축 방향(+x, +y, +z, –x, –y, –z)으로 (∵ 반발력이 최소인 방향)계속해서 접근하여 아주 가까이에 위치하면,반발력 정도는 5개 d 오비탈 모두 동등하지 않게 된다. Why?---> 5개 d 오비탈의 모양과 공간 배치가 다르.. 2017. 1. 24. K4[Fe(CN)6]의 자기적 성질 K4[Fe(CN)6]의 자기적 성질 [Fe(CN)6]^4-의 자기적 성질 --------------------------------------------------- ▶ [Fe(CN)6]^4- 에서, (Fe) + 6(CN) = –4 (Fe) + 6(–1) = –4 ---> Fe의 산화수(이온 전하) = +2. ▶ Fe^2+의 전자배치: 3d^6 ▶ CN^-는 강한 장 리간드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10 ) d 오비탈을 많이 분리시킨다. ---> low spin 착물 형성. [그림] d^6 전자배치. 오비탈에 홀전자(짝짓지 않은 전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K4[Fe(CN)6]의 자기적 성질은 반자기성. [ 그림 출처 ] Iron(II) complexes have.. 2016. 12. 7. 몇 가지 일반적인 리간드 (Some Common Ligands) ★ 몇 가지 일반적인 리간드 (Some Common Ligands) Fluoride (F^–), FluroChloride (Cl^–), ChloroBromide (Br^–), BromoHydroxide (OH^–), HydroxoSulphate (SO4^2–), SulphatoOxide (O^2–), OxoCarbonate (CO3^2–), CarbonatoOxalate (C2O4^2–), Oxalato (ox)Thiocyanate (SCN^–), ThiocyanatoCyanide (CN^–), CyanoIsothiocyanate (NCS^–), Isothiocyanato Ethylenediamine (NH2CH2CH2NH2), Etylenediamine (en)Ammonia (NH3),.. 2016. 2. 13. 리간드의 분광화학적 계열 (spectrochemical series) ★ 리간드의 분광화학적 계열 (spectrochemical series) --------------------------------------------------- ▶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9815 ] --------------------------------------------------- 착물을 형성할 때 전이 금속 이온의 d 오비탈이 분리되는 이유는? ⇨ 오로지 리간드 때문. ( 참고: 결정장 분리 https://ywpop.tistory.com/6479 ) [그림] d 오비탈의 분리. 그렇다면, d 오비탈이 분리되는 정도는 즉, 결정장 갈라짐 에너지 (crystal field splitting energy), Δ 값은 오로.. 2015. 12. 5. 착 이온. 리간드. 배위수 ★ 착 이온. 리간드. 배위수 --------------------------------------------------- ▶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9815 ] --------------------------------------------------- [그림] 착이온, [Co(en)2Cl2]^+의 구조식. ▶ 착 이온 (complex ion) 또는 complex (착물) > 중심 금속 양이온(M)에 한 개 이상의 분자/이온(L)이 배위 결합한 형태의 이온 > 전이 금속의 양이온과 비공유 전자쌍을 가진 중성분자/음이온 사이의 배위 공유 결합성 화합물 ( 참고: 착이온 https://ywpop.tistory.com/7329 ) ( 참.. 2015. 12. 1. 이전 1 ··· 5 6 7 8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