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75

지르코늄의 산화수. Zr의 산화수 지르코늄의 산화수. Zr의 산화수 [참고] 전이금속 [ https://ywpop.tistory.com/7346 ] > Zr의 전자배치: [Kr] 4d^2 5s^2 ---> 4개의 원자가 전자 > In general, these compounds are colourless diamagnetic solids wherein zirconium has the oxidation state +4. Far fewer Zr(III) compounds are known, and Zr(II) is very rare. ---> 일반적으로 +4가, 훨씬 적게 +3가, 아주 드물게 +2가. ---> 같은 족인 타이타늄도 이와 유사하다. > +4가 화합물: ZrCl4, ZrO2 ( 참고: ZrCl4 https://en.wikipe.. 2024. 3. 29.
[명명법] [Co(NH3)4CO3]NO3 [Co(NH3)5Cl]Cl2 [명명법] [Co(NH3)4CO3]NO3 [Co(NH3)5Cl]Cl2 --------------------------------------------------- ▶ 참고: 착물 명명법. 배위화합물 명명법 (1) [ https://ywpop.tistory.com/10359 ] ▶ 참고: 착물 명명법. 배위화합물 명명법 (2) [ https://ywpop.tistory.com/13124 ] --------------------------------------------------- ▶ [Co(NH3)4CO3]NO3 name > tetraammine carbonato cobalt(III) nitrate > tetraamminecarbonatocobalt(III) nitrate > carbonato tetra.. 2023. 4. 18.
pH 10에서 EDTA의 구조 pH 10에서 EDTA의 구조 What is the structure of EDTA at pH 10? --------------------------------------------------- At pH 10,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exists in its fully deprotonated form, meaning that all of its acidic protons are dissociated. The structure of EDTA at pH 10 is a highly charged anion with a complex of four carboxylate groups and two nitrogen atoms that can bind to metal .. 2023. 3. 30.
[Co(NH3)4Cl2]^+ 기하 이성질체 개수와 Co의 산화수 [Co(NH3)4Cl2]^+ 기하 이성질체 개수와 Co의 산화수 --------------------------------------------------- MA4B2 기하 이성질체 개수는 2개. ---> cis-이성질체, trans-이성질체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472 ) [Co(NH3)4Cl2]^+의 산화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259 ) (Co) + 4(NH3) + 2(Cl) = +1 (Co) + 4(0) + 2(–1) = +1 ---> Co의 산화수 = +3. [키워드] 착 이온 [Co(NH3)4Cl2]^+ 기준문서, ma4b2 isomer 기준문서 2023. 2. 8.
[Mn(CN)6]^5-, [Mn(CN)6]^4-, [Mn(CN)6]^3- 전자배치 [Mn(CN)6]^5-, [Mn(CN)6]^4-, [Mn(CN)6]^3- 전자배치 The complex ions [Mn(CN)6]^5-, [Mn(CN)6]^4-, and [Mn(CN)6]^3- have all been synthesized and all are low-spin octahedral complexes. For each complex, determine the oxidation number of Mn, the configuration of the d-electrons (how many t_2g and how many e_g), and how many unpaired electrons are present. For the low-spin complex ion [Mn(CN)6]^5-, determ.. 2022. 12. 13.
[Mn(CN)6]^4- + e^- ⇌ [Mn(CN)6]^5- reaction [Mn(CN)6]^4- + e^- ⇌ [Mn(CN)6]^5- reaction Kinetics of the [Mn(CN)6]^4- + e^- ⇌ [Mn(CN)6]^5- reaction at mercury electrodes --------------------------------------------------- [ 출처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0022072893029317?via%3Dihub ] ▶ Mn의 산화수 = +1. ( 참고: 전이금속 https://ywpop.tistory.com/7346 ) [키워드] Mn의 산화수 기준문서 2022. 12. 13.
[Co(en)2(H2O)Br]^2+ 착이온의 배위수, 산화수 [Co(en)2(H2O)Br]^2+ 착이온의 배위수, 산화수 --------------------------------------------------- ▶ 참고: 리간드의 종류 [ https://ywpop.tistory.com/4811 ] --------------------------------------------------- en은 두자리 리간드, H2O, Br^-는 한자리 리간드이므로, ---> 배위수 = 6.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379 ) en, H2O는 중성 리간드, Br^-는 –1가 음이온 리간드이므로, (Co) + 2(en) + (H2O) + (Br) = +2 (Co) + 2(0) + (0) + (–1) = +2 ---> Co의 산화수 = +3. ( .. 2022. 12. 1.
구리가 +2가 양이온인 이유 구리가 +2가 양이온인 이유 Cu^2+ 양이온으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이유 --------------------------------------------------- Cu는 전이금속이기 때문에, 화합물에서 +1, +2, +3 등의 다양한 산화수를 가질 수 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346 ) 자연상태에서 Cu^2+ 이온으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이유는 Cu의 바닥상태 전자배치에서 찾을 수 있다. (n+l) 규칙에 따라 Cu의 전자를 배치하면, [Ar] 4s^2 3d^9 이렇게 배치가 되어야 하는데, 분광학 실험을 통해 밝혀진 Cu의 실제 전자배치는 [Ar] 4s^1 3d^10 과 같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44 ) 원자가 전자를.. 2022. 8. 23.
[Fe(H2O)6]^2+ 착이온의 전자배치와 자기적 성질 [Fe(H2O)6]^2+ 착이온의 전자배치와 자기적 성질 --------------------------------------------------- ▶ [Fe(H2O)6]^2+ 에서, H2O는 중성 분자 이므로, (Fe) + 6(H2O) = +2 (Fe) + 6(0) = +2 따라서 Fe의 이온 전하(산화수) = +2. ▶ Fe의 전자배치와 Fe^2+의 전자배치 ▶ H2O 리간드는 약한 장 리간드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10 ) [Fe(H2O)6]^2+ 착이온은 고스핀 착물(high-spin complex) 형성. ---> 홀전자 개수 = 4개. ---> 상자기성 물질. ( 참고: d^6 전자배치 https://ywpop.tistory.com/2909 ) [ .. 2022. 8. 22.
[Fe(CN)6]^4- 착이온의 전자배치와 자기적 성질 [Fe(CN)6]^4- 착이온의 전자배치와 자기적 성질 --------------------------------------------------- ▶ [Fe(CN)6]^4- 에서, CN의 이온 전하 = –1 이므로, (Fe) + 6(CN) = –4 (Fe) + 6(–1) = –4 따라서 Fe의 이온 전하(산화수) = +2. ▶ Fe의 전자배치와 Fe^2+의 전자배치 ▶ CN^- 리간드는 강한 장 리간드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10 ) [Fe(CN)6]^4- 착이온은 저스핀 착물(low-spin complex) 형성. ---> 홀전자 개수 = 0개. ---> 반자기성 물질. ( 참고: d^6 전자배치 https://ywpop.tistory.com/2909 ) [.. 2022.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