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2장] 고체 및 최신 소재57

고분자 (polymer). 분자량이 약 10,000 이상인 분자 고분자 (polymer). 분자량이 약 10,000 이상인 분자       ▶ 분자량의 크기에 따라,> 저 분 자: 분자량이 약 1,000 이하인 분자> 올리고머: 분자량이 약 1,000~10,000 정도인 분자> 고 분 자: 분자량이 약 10,000 이상인 분자       또는> 중합체(polymer): 단량체를 연결시켜 만든 분자량이 큰 거대분자(macromolecule)> 단량체(monomer): 중합체를 만들 수 있는 분자량이 작은 저분자 화합물           저분자인 에텐(에틸렌)의 파이결합이 파괴되면서두 에텐 사이에는 새로운 시그마 결합이 생성된다.즉, 공유 결합에 의해 두 에텐이 화학적으로 결합된다.이런 반응이 수없이 반복되면(중합되면)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이 생성된다.    .. 2015. 11. 9.
합금인 황동(brass)이 용액인 이유 합금인 황동(brass)이 용액인 이유       1. 용액의 정의는 ‘균일 혼합물’입니다.   2. 황동은 대략 구리 70%, 아연 30%로 이루어진 합금입니다.   3. 구리, 아연은 고체이지만, 합금을 만들 때는 녹아서 액체 상태입니다.   4. 액체 상태이므로 구리와 아연은 균일하게 혼합이 됩니다.   5. 액체 금속 혼합물이 균일하게 혼합이 된 후, 식어서 합금이 됩니다.   6. 따라서 합금은 균일 혼합물이므로, 용액입니다.   7. 고체 상태의 용액을 따로 고용체라고 부릅니다.   8. 참고로 공기와 같이 기체 상태의 용액은 기용체라고 부릅니다.         [그림] 황동으로 만든 탄피.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44 ] 합금의.. 2015. 6. 15.
화학에서 가교화. 가교 반응. cross-linking 화학에서 가교화. 가교 반응. cross-linking       ‘가교화’란 영어로 ‘cross-linked’라고 표현하는데,영어 글자 그대로, 긴 탄화수소 고분자 사슬이 있다면,사슬과 사슬 사이를 연결(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선형 고분자를 가교화시키면,고분자의 물성이 개선된다.       대표적으로 1839년, Charles Goodyear가 개발한천연 고무의 가황 반응(vulcanization)을 들 수 있다.(아래 반응)         [그림] polyisoprene chains with sulfur bridges.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962 ] 공유결합 화합물의 녹는점, 끓는점이 이온.. 2015. 5. 31.
고체의 띠 이론. 도체, 반도체, 부도체 ★ 고체의 띠 이론. 도체, 반도체, 부도체 Band Theory of Solids 고체의 띠 이론에서 결합성 MO로 형성된 띠를 원자가띠(Valence Band, VB), ( 또는 전자를 포함하는 가장 높은 띠 ) ( 참고: MO 이론 https://ywpop.tistory.com/6048 ) 반결합성 MO로 형성된 띠를 전도띠(Conduction Band, CB), ( 또는 원자가띠 바로 위에 전자가 비어있는 띠 ) 두 띠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띠간격(band gap)이라고 합니다. 띠 이론에서는 원자가띠에 있는 전자들이 전도띠로 이동할 때, 전기가 흐른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띠간격이 겹쳐있으면, 도체, ( 전자들이 쉽게 전도띠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 전기가 잘 통한다. ) 약간 떨어져.. 2015. 5. 26.
Bonding in Solids. 4 types of solids ★ Bonding in Solids. 4 types of solids결합 종류에 따른 고체의 분류       ① Metallic solids, 금속성 고체 (정전기적 인력)② Ionic solids, 이온성 고체 (정전기적 인력)③ Network covalent solids, 공유성-그물구조 고체 (공유 결합)④ Molecular solids, 분자성 고체 (분자간 힘)         ① 금속성 고체, Metallic solids▶ 고체 전체적으로 공유된 원자가전자들(자유 전자)과금속 양이온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 ⇨ 금속 결합   ▶ 결합 힘이 ‘금속 결합’인 고체 ⇨ 금속성 고체예) Au, Cu, Fe         ② 이온성 고체, Ionic solids▶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 2014. 12. 10.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의 띠 구조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의 띠 구조 --------------------------------------------------- ▶ 참고: 고체의 띠 이론 [ https://ywpop.tistory.com/3467 ] --------------------------------------------------- ▶ 진성 반도체. intrinsic semiconductor > 불순물을 첨가하지 않은 순수한 반도체 > 결정에 결함이 없는 반도체 > 불순물 원자나 결정 결함을 포함하지 않는 순수한 반도체 > 영어 머릿글자로부터 “I형 반도체”라고도 한다. ▶ 불순물 반도체. extrinsic semiconductor > 순수한 진성 반도체에 불순물(도펀트)를 소량 첨가(도핑)한 반도체 > 불순물 때문에 순수.. 2014. 10. 31.
고분자. 5대 범용 플라스틱 (Big Five) 고분자. 5대 범용 플라스틱 (Big Five)       1.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2.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 Polymerization: free radical chain polymerization> Morphology (LDPE): highly amorphous (branched)> Morphology (HDPE): highly crystalline (linear)> Melting temperature: 137℃>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30 to –80℃         3. PP, polypropylene     > Polymerization: Ziegla.. 2012.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