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polymer). 분자량이 약 10,000 이상인 분자
---------------------------------------------------
▶ 분자량의 크기에 따라,
> 저 분 자: 분자량이 약 1,000 이하인 분자
> 올리고머: 분자량이 약 1,000~10,000 정도인 분자
> 고 분 자: 분자량이 약 10,000 이상인 분자
또는
> 중합체(polymer): 단량체를 연결시켜 만든 분자량이 큰 거대분자(macromolecule)
> 단량체(monomer): 중합체를 만들 수 있는 분자량이 작은 저분자 화합물
저분자인 에텐(에틸렌)의 파이결합이 파괴되면서
두 에텐 사이에는 새로운 시그마 결합이 생성된다.
즉, 공유 결합에 의해 두 에텐이 화학적으로 결합된다.
이런 반응이 수없이 반복되면(중합되면)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이 생성된다.
▶ 고분자 화합물, high-molecular compounds
= 고분자, polymer
= 중합체, polymer
= 거대분자, macromolecule
▶ 고분자 화합물의 화학식 (고분자의 화학식) 은
단량체 (monomer) 분자 화학식의
반복 단위 (repeat unit or repeating unit) 로 나타낸다.
> 폴리에틸렌의 화학식: [–C2H4–]n
( 참고: 나일론의 반복 단위 https://ywpop.tistory.com/8099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151 ] 고분자의 분류. 고분자의 종류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37 ] 5대 범용 플라스틱(Big Five)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909 ] 중합반응. 부가중합 및 축합중합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453 ] 생체고분자 (Biopolymer)
[키워드] 고분자 기준문서, 고분자의 정의 기준문서, 고분자 사전, 고분자의 정의 사전, 반복 단위 기준문서, repeat unit 기준문서, repeating unit 기준문서
'일반화학 > [12장] 고체 및 최신 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합반응. 부가중합 및 축합중합 (0) | 2017.04.18 |
---|---|
원자결정, 분자결정은 각각 분자인가요 (0) | 2017.03.26 |
고체의 구조와 결정 격자 (crystal lattice) (1) | 2016.04.16 |
합금의 4가지 종류. 금속간 화합물 (0) | 2016.01.25 |
합금인 황동(brass)이 용액인 이유 (0) | 2015.06.15 |
고체의 띠 이론. 도체, 반도체, 부도체 ★ (0) | 2015.05.26 |
Bonding in Solids. 4 types of solids ★ (1) | 2014.12.10 |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의 띠 구조 (2) | 2014.10.31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