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나중에 채워진 전자의 양자수 (n, l, m_l, m_s). 황(S)
가장 나중에 채워진 전자의 양자수 (n, l, m_l, m_s). 황(S) --------------------------------------------------- ▶ 참고: 한 벌의 양자수 [ https://ywpop.tistory.com/2932 ] --------------------------------------------------- ▶ S의 바닥상태 전자배치 > 1s^2 2s^2 2p^6 3s^2 3p^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5967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40 ) ▶ 3p 오비탈 4번째 전자의 양자수 set > (n, l, m_l, m_s) = (3, 1, –1, –1/2)
2022. 6. 9.
바닥상태 Mg 원자의 원자가 전자의 양자수 조합
바닥상태 Mg 원자의 원자가 전자의 양자수 조합 --------------------------------------------------- ▶ 참고: 한 벌의 양자수 [ https://ywpop.tistory.com/2932 ] --------------------------------------------------- ▶ Mg의 바닥상태 전자배치 > 1s^2 2s^2 2p^6 3s^2 > [Ne] 3s^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5967 ) 2개 원자가 전자 각각의 양자수 조합을 나타내면, > (n, l, m_l, m_s) > (3, 0, 0, +1/2) > (3, 0, 0, –1/2) [키워드] Mg의 전자배치 기준문서
2022. 6. 5.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양자수 조합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양자수 조합 1) n = 1, l = 1, m_l = 0, m_s = +1/2 2) n = 3, l = 1, m_l = –2, m_s = –1/2 3) n = 2, l = 1, m_l = 0, m_s = +1/2 4) n = 2, l = 0, m_l = 0, m_s = 1 --------------------------------------------------- ▶ 참고: 한 벌의 양자수 [ https://ywpop.tistory.com/2932 ] --------------------------------------------------- 1) n = 1, l = 1, m_l = 0, m_s = +1/2 ---> 가질 수 없음. l = 0 2) n = 3, l = 1, m_l =..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