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6장] 원자의 전자 구조253

1.1 eV 광자 에너지의 파장 1.1 eV 광자 에너지의 파장 --------------------------------------------------- 1 eV = 1.602 176 634×10^(-19) J 이므로, 1.1 eV × (1.602176634×10^(-19) J / 1 eV) = 1.1 × (1.602176634×10^(-19)) = 1.762394×10^(-19) J E = hν = h(c/λ) = hc/λ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964 ) λ = hc / E = (6.626×10^(-34) J•s) (2.998×10^8 m/s) / (1.762394×10^(-19) J) = (6.626×10^(-34)) (2.998×10^8) / (1.762394×10^(-19)) = 1.127.. 2023. 2. 19.
산소의 전자배치. 최외각 전자 수 부대 전자 수 산소의 전자배치. 최외각 전자 수 부대 전자 수 바닥상태에서 2p 오비탈에 4개의 전자가 있으면 최외각 전자 수는 a 개이고 부대전자수 (짝지워지지 않는 전자수)는 b 개 다. a 와 b 에 해당하는 수는? --------------------------------------------------- 2s^2 2p^4 ---> a = 6 p 오비탈의 개수는 3개이므로, ---> b = 2 ( 참고: 산소의 전자배치 https://ywpop.tistory.com/2840 ) 2023. 2. 19.
양성자와 양전자의 차이점 양성자와 양전자의 차이점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proton and a positron? --------------------------------------------------- 양성자는 원자핵에서 발견되는 양전하를 띤 아원자 입자이며, 양전자는 전자와 같은 질량을 갖지만 양전하를 띤 전자의 반입자이다. 즉, 양성자는 원자의 구성 요소이고, 양전자는 반물질 입자이다. A proton is a subatomic particle with a positive electric charge found in the nucleus of an atom, while a positron is the antiparticle of an electron, with the same mass.. 2023. 2. 14.
궤도함수에 있는 전자의 네 가지 양자수. 4p와 3d 궤도함수에 있는 전자의 네 가지 양자수. 4p와 3d --------------------------------------------------- ▶ 참고: 한 벌의 양자수 [ https://ywpop.tistory.com/2932 ] --------------------------------------------------- ▶ 4p > n = 4 > l = 1 > m_l = –1, 0, +1 > m_s = +1/2, –1/2 예) (4, 1, –1, +1/2) ▶ 3d > n = 3 > l = 2 > m_l = –2, –1, 0, +1, +2 > m_s = +1/2, –1/2 예) (3, 2, –2, +1/2) [키워드] 한 벌의 양자수 기준문서 2022. 11. 27.
3028 cm-1 μm Hz J/photon 3028 cm-1 μm Hz J/photon 파수가 3028 cm-1인 적외선의 파장(μm), 진동수(Hz), 에너지(J/광자, J/mol 광자) 계산 Calculate the wavelength (μm), frequency (Hz), and energy (J/photon and J/[mol of photons]) of infrared radiation with a wavenumber of 3028 cm-1. --------------------------------------------------- ▶ 파수를 파장으로 파수(cm-1) × 파장(μm) = 10^4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736 ) 파장(μm) = 10^4 / 파수(cm^-1) = 10^4 / (.. 2022. 11. 25.
500 nm 가시선 광자의 에너지 (J) 500 nm 가시선 광자의 에너지 (J) By how many joules is the energy of a molecule increased when it absorbs visible light with a wavelength of 500 nm? --------------------------------------------------- E = hν = hc / λ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964 ) = [(6.626×10^(-34) J•s) (2.998×10^8 m/s)] / [500 nm × (1 m / 10^9 nm)] = (6.626×10^(-34)) (2.998×10^8) / (500 / 10^9) = 3.97×10^(-19) J ---> 광자 1개의 에너지 광.. 2022. 10. 19.
존재하는 모든 부준위 열거 존재하는 모든 부준위 열거 다음 각 에너지 준위의 경우, 존재하는 모든 부준위를 열거하시오. a. 준위 1 b. 준위 2 c. 준위 3 d. 준위 4 --------------------------------------------------- ▶ 참고: 한 벌의 양자수 [ https://ywpop.tistory.com/2932 ] --------------------------------------------------- > 준위 = 주양자수, n > 부준위 = 각운동량 양자수, l a. 준위 1 ---> s b. 준위 2 ---> s, p c. 준위 3 ---> s, p, d d. 준위 4 ---> s, p, d, f 2022. 10. 14.
가능한 준위 부준위 조합 가능한 준위 부준위 조합 다음의 준위/부준위 조합은 가능한가? a. 준위 1, 부준위 s b. 준위 4, 부준위 s c. 준위 1, 부준위 p --------------------------------------------------- ▶ 참고: 한 벌의 양자수 [ https://ywpop.tistory.com/2932 ] --------------------------------------------------- > 준위 = 주양자수, n > 부준위 = 각운동량 양자수, l a. 준위 1, 부준위 s ---> 1s ---> 가능. b. 준위 4, 부준위 s ---> 4s ---> 가능. c. 준위 1, 부준위 p ---> 1p ---> 불가능. ---> 준위 1은 오로지 부준위 s만 가능. ---> 부.. 2022. 10. 14.
전자의 오비탈 표기. n = 4, l = 3, m_l = –2 전자의 오비탈 표기. n = 4, l = 3, m_l = –2 --------------------------------------------------- ▶ 참고: 한 벌의 양자수 [ https://ywpop.tistory.com/2932 ] --------------------------------------------------- [ 그림 출처 Wikimedia ] Cartesian polynomial names for the atomic orbitals. 답: 4f_xyz [키워드] 한 벌의 양자수 기준문서, 전자의 오비탈 표기 기준문서, 에프 오비탈 기준문서, 에프 오비탈 사전 2022. 10. 7.
파장 3000 Å을 마이크로미터(μm)와 나노미터(nm)로 표시 파장 3000 Å을 마이크로미터(μm)와 나노미터(nm)로 표시 파장 3000 Å을 마이크로미터(μm)와 나노미터(nm)로 표시하고, 이 파장의 진동수(Hz)와 파수(cm-1)를 구하시오. --------------------------------------------------- > 1 m = 10^10 Å > 1 m = 10^9 nm > 1 m = 10^6 μ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28 ) 3000 Å × (1 m / 10^10 Å) × (10^6 μm / 1 m) = 3000 × (1 / 10^10) × (10^6) = 0.3 μm 3000 Å × (1 m / 10^10 Å) × (10^9 nm / 1 m) = 3000 × (1 / 10^10) × (10^9).. 2022.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