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진조각1076

대구 팔공산 파계사(2) - 영조임금 나무, 설선당 2009. 8. 25.
대구 팔공산 파계사(1) - 진동루 * 일주문. 팔공산 파계사. * 사적비로 가는 길에 촬영한 파계사 입구 모습.* 사진 하단에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은 약수터입니다. * 파계사 안내도.* 안내도 오른쪽 맨 아래 부분에 사적비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 사적비. * 파계사 하마비. 대소인개하마비(大小人皆下馬碑). 사적비 오른쪽에 있습니다. * 파계사 진동루.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호. 2009. 8. 24.
매미 허물 관찰 * 아파트 녹지공간을 거닐다가 발견한 매미 애벌레의허물.* 애벌레가 땅속에서 나와 기어올라온 나무는 모과나무입니다.* 중간에 나온 개미는 지나가던 중이었습니다.^^* 참고로, 개미가 모과나무를 오르내리는 이유는 진딧물의 배설물(당분)을 얻고자 함입니다. * 진딧물과 개미는 자연계에서 대표적인 공생(共生)을 하는 사이이죠. * 개미는 진딧물로부터 좋아하는 당분을 공급받고, 진딧물은 무당벌레 같은 천적들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를 받습니다. * 재미있는 사실은어떤 개미들은 진딧물을 납치(?)해 와서 풀과 나뭇잎을 먹이로 주어 키우기도 합니다.* 이 가축화는 인간보다 훨씬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09. 8. 24.
마주치다. * 주차 후 그 녀석과 눈이 마주쳤다. 2009. 8. 20.
대구 수성구 상동 지석묘 대구 수성구 상동 지석묘 *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2호 (수성구) * 상동 지석묘군 (上洞 支石墓群)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187번지 (대구문화예술회관 북동쪽 주차장에 위치) * 다음 지도 보기 수성구 상동 501번지 일대에 분포했던 지석묘군으로 현재는 상석 4개가 이동되어 임의로 배치되어 있다. 1998년 국립대구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한 바에 의하면 지상의 상석은 이동되어 원위치는 파악하기 어렵게 되어 있기는 하나, 지하묘구는 15m×15m 구역 내에서 30여기의 석관·석곽이 원상으로 분포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출처: 문화재청] 원래는 수성(壽城)들판에 수십기(數十基)가 신천을 따라 군(群)을 이루면서 분포하고 있었으며, 그 일부를(4기) 91년 문화예술회관을 건립하면서 옮김. 상동 .. 2009. 8. 2.
비온 뒤 아침 소경 * 출근 길 차에서 내린 다음 길가 화단에 빗방울이 맺혀있는 작은 나뭇잎이 예쁘게 보여 폰카로 촬영. * 오토포커스 기능이 절실했던 순간. 2009. 7. 21.
도시의 야경 * 월성푸르지오 18층에서 남대구IC쪽으로 촬영한 모습. 휴대폰으로 촬영. 2009. 7. 18.
청도 운강고택 및 만화정(3) * 만화정 누마루. 2009. 7. 18.
오렌지색 스쿠터 * 다영이랑 동네 한바퀴 돌다가 휴대폰으로 촬영한 스쿠터. 2009. 7. 13.
청도 운강고택 및 만화정(2) * 증통정대부좌승지운강선생박공지비. 운강 박시묵 선생의 비. 2009. 7.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