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진조각1076 대구 무술명오작비 * 대구 무술명오작비 (大邱 戊戌銘塢作碑)* 보물 제516호* 소재지 :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 박물관(제7전시실) 1946년 대구시 대안동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가 7, 8년 동안이나 행방을 알 수가 없었는데, 그 후 다시 경북대학교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비(碑)는 길쭉한 모양의 자연석으로, 아래는 직선으로 잘려 있고 윗부분은 원형으로 처리되어 있다. 아랫부분의 모습으로 보아 본래 받침돌 위에 세웠거나 암반 위를 파고 세웠던 것으로 여겨진다. 비의 내용은 건립날짜와 저수지 축조내용 및 관계된 사람들에 대한 것이다. 글자가 상당수 깎여나가 해석을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나, 신라시대 수리시설이나 사회사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출처 : 문화재청] 2010. 6. 23. 대구 북구 대현동 주택재건축, 강남당약국 맞은편 * 도로변건물이 완전 철거되니 저 멀리 대현뜨란채아파트가 보입니다. 2010. 6. 23.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구 대구의학전문학교본관 (舊 大邱醫學專門學校本館)* 사적 제442호* 소재지 : 대구 중구 동인동 2가 101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본관)건물은 일제 강점기 때 대구지역 의료인 양성을 위해 지어진 건물로 1933년 공립 대구의학전문학교로 개교되었다. 이 건물은 구 도립대구병원(사적 제443호, 현 경북대학교병원 본관)건물과 마주보며 배치되어 있다. 3층의 붉은 벽돌(조적조) 건물로 남향하며, 정면 중앙부에는 4층으로 된 사각탑(Turret)을 두고 옥상에는 옥탑을 설치하였다. 평면은 ‘산(山)’자 모양으로 중복도(中複道)식이며, 현관 포치(Porch)를 중심으로 좌우대칭형이다. 건물의 외관 구성에 나타난 특징은 정면 중앙부 돌출 유리벽의 곡면처리 및 창 사잇벽과 옥상 .. 2010. 6. 23. 구 도립대구병원, 경북대학교병원 * 구 도립대구병원 (舊 道立大邱病院)* 사적 제443호* 소재지 : 대구 중구 삼덕동 2가 50 구 도립대구병원(현 경북대학교병원 본관)은 일제 강점기 때 1928년 도립 대구의원으로 지은 2층의 붉은 벽돌(조적조) 건물이다. 이 건물은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사적 제442호, 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본관)건물과 마주보며 배치되어 있다. 건물은 북향하여 동서로 길게 배치되었으며 지붕은 모임지붕 형태로 기와를 이었다. 평면은 ‘ㄱ’자 모양으로 중복도(中複道)의 양측에 각 실(室)을 남향과 북향으로 배치하였으며, 정면 우측의 익사(翼舍)에는 편복도를 설치하고 동향으로 실을 배치하였다. 건물 구성은 정면 중앙부의 현관 포치(Porch)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창인방과 처마부를 화강석 수평돌림띠(Co.. 2010. 6. 22.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2010. 6. 22. 평리네거리 * 오후 7시 35분, 평리네거리. 2010. 6. 21. 팔공올레 제2코스, 한실골 가는 길(4) * 아영다원. (오후 12시 49분) * 자연염색박물관. * 어른(19세 이상) 3,000원, 청소년(중.고등학생) 2,500원, 어린이(초등학생) 1,500원.* (오후 12시 58분)* 뒤돌아보고 찍은 사진.* 오늘 올레 길은 여기가 끝입니다. 사진에서 왼쪽 정거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면 됩니다. (오후 1시 2분) 2010. 6. 20. 팔공올레 제2코스, 한실골 가는 길(3) * 만디 쉼터가 팔공올레 제2코스의 정상(가장 높은 곳)이 아닙니다. * 이 길 끝부터 잠시 오르막길이 다시 나옵니다. (오후 12시 14분) * 여기 쉼터가 정상이지 싶습니다. (오후 12시 20분)* 여기서부터 S자 코스의 약간 급한 경사의 내리막길이 시작됩니다. * 오솔길 구간 시작입니다. (오후 12시 32분. 꽃 사진 찍는다고 걸린 시간을 감안하세요.) * 이 사진은 거꾸로 용진마을에서부터 걷기를 시작하는 분들을 위해 촬영한 사진으로, 사진에서 왼쪽 비포장길로 가야합니다. (오후 12시 37분)* 이 문에서 1분도 안 걸리는 곳에 위위 사진의 갈림길이 나옵니다. (오후 12시 37분) 2010. 6. 20. 팔공올레 제2코스, 한실골 가는 길(2) * 쉼터가 보입니다. (오전 11시 54분) * 쉼터 바로 위에 대원사가 있습니다. * 대원사 올라가는 길. * 이 집이 절은 아니고요, 재실이랍니다. 절은 이 집 왼쪽에 있습니다. * 절이라고 부르기에는 좀 부끄럽고요, 그냥 방1개 있는 집안에 불상 등을 모셔두고 있습니다. * 대원사에서 나와서 다시 걷기 시작합니다. (오후 12시 1분) * 드디어 만디가 보입니다. 사실 대원사부터 여기까지 조금 경사가 있어서 아주 약간 힘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제 고생 끝이구나 해서 만디가 반가웠습니다. (오후 12시 10분) * 만디(언덕) 쉼터에는 운동기구가 설치되어있습니다.* 내동으로 가는 길. 2010. 6. 20. 팔공올레 제2코스, 한실골 가는 길(1) * 태평상가 건너 버스정류장에서, 101-1번(덕곡방면) 버스를 기다리면서.* 태왕그린힐즈 앞에서 하차한 후. * 왼쪽 편 저 멀리 신숭겸장군유적지가 보입니다. 지도를 클릭하시면 위치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올레길입니다. 왜냐고요? 푯말이 있잖습니까.^^ (오전 11시 14분) * 대곡지. (오전 11시 29분) * 이동식 화장실 옆 재실. (오전 11시 43분)* 올레길 중간 중간에 나무그늘이 있어 땀을 식혀 줍니다. 2010. 6. 20. 이전 1 ··· 78 79 80 81 82 83 84 ··· 1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