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진조각1076 출근길 대구역 네거리 * 오전 8시 10분. 2010. 7. 19. 남대구요금소 * 월성푸르지오아파트에서 바라본 남대구요금소와 학산초교. 2010. 7. 18. 포스터 공모전 특선 2010. 7. 2. 긴 시간, 어릴 적, 박물관 풍경 ... 무학레코드프라쟈 * 비산네거리. 무학레코드프라쟈.* 초등학교 5학년 2학기(그럼 아마 1978년) 평리초등으로 전학 오면서부터 봐왔던 음반 매장입니다. 그렇다면 최소한 32년 이상 영업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mp3 등 디지털 음원이 판치는 세상에 아직까지 동네에서 레코드 판매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고, 한편으론 기적에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 로드뷰. 2010. 7. 2. 마지은니수능엄경, 보물 제271호 * 마지은니수능엄경 (麻紙銀泥首楞嚴經 )* 보물 제271호* 소재지 :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 도서관 고서실 수능엄경의 원래 명칭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이며, 스님들이 수련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전이다. 부처의 말씀을 머리속으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체득하여 힘을 갖는 것을 주요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은 삼베로 만든 종이에 은색 글씨로 불경을 옮겨 적은 것으로, 능엄경 10권 가운데 마지막 권이다.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0.5㎝, 가로 11.2㎝이다. 현재 표지는 없어진 상태이고 은색 글씨의 빛깔이 바래서 약간 검은 빛을 띠고 있다. 책의 맨 끝부분에는 1365년 이방한이 죽은 어머니의 명복을.. 2010. 7. 1. 석조부도, 보물 제258호 * 석조부도 (石造浮屠)* 보물 제258호* 소재지 :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 박물관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아 각 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3단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 위에 탑신(塔身)을 올리고 지붕돌을 얹은 형태이다. 네모진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은 아래·가운데·윗받침돌로 나뉘어지는데, 아래받침돌 옆면에는 사자를 새겨 놓았고, 윗면에는 구름을 입체적으로 조각하였다. 낮은 가운데받침돌은 모서리를 죽이고 각 면마다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을 새겼다. 윗받침돌은 가운데 띠를 돌리고 아래·윗면에 소박하면서도 큼직한 연꽃을 조각하였다. 사리를 모셔놓은 탑신(塔身)은 낮은 편이며,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 모양을, 나머지 면에는 사천왕상(四天王像)과.. 2010. 6. 28. 석조부도, 보물 제135호 * 석조부도 (石造浮屠)* 보물 제135호* 소재지 :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 박물관 부도는 승려의 사리를 모셔 놓은 곳으로, 사리탑이라 부르기도 한다. 경북대학교 박물관에 세워져 있는 이 부도는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다. 기단의 아래받침돌은 4각이며 각 면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가운데받침돌은 동그스름한 8각으로, 표면 전체에 구름이 새겨져 있으며, 앞·뒤·좌·우에는 용 네 마리가 도드라지게 조각되어 있다. 각이 선명하고 강인함이 느껴지는데, 여기에서도 고려시대의 기상이 묻어나온다. 탑신은 8각의 몸돌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앞·뒷면에는 문짝 모양을 조각하였으며, 그 좌우.. 2010. 6. 28. 경북대학교 전경 * 정보전산원, 어학교육원, 사범대학.* 박물관, 공대10호관(IT대학-1), 공대13호관(?). 2010. 6. 25. 연못과 물고기 2010. 6. 24. 봉화 북지리 석반가사유상 * 봉화 북지리 석반가사유상 (奉化 北枝里 石半跏思惟像)* 보물 제997호* 소재지 : 대구 북구 산격동 1370 경북대학교 박물관 북지리의 마애불좌상 옆에 있던 것을 1966년 경북대학교로 옮겨다 놓은 것이다. 높이 1.6m 가량에 상반신은 깨져 없어지고, 하반신과 다른 돌로 만든 둥근 연꽃무늬 발받침대만이 남아 있지만, 우수한 조각기법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상반신은 옷을 벗은 듯 하고 하체에 표현된 옷은 매우 얇다.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은 오른쪽 다리는 매우 크고 무릎을 높이 솟게 하여 강조하고 있다. 올려놓은 다리 밑에는 3단으로 옷주름이 부드럽게 흐르는데 그 선이 분명하다. 이들 옆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고리와 화려한 구슬 장식이 있다. 불상의 뒷면은 옷주름만 단순하게 표현하고 있어 앞면을 위주.. 2010. 6. 23. 이전 1 ··· 77 78 79 80 81 82 83 ··· 1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