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진조각1076 소헌 김만호 선생 예술비 * 소헌김만호선생 예술비(素軒金萬湖先生 藝術碑)* 서예의 대가. 1908년 10월 19일 경북 의성 출생으로 5세 때에 한문, 수학, 서법을 익혔다. 가업인 한의로써 인술을 베풀면서 서도(書道)에 정진하였다. 소헌 서예를 개척, 완성하고 봉무연구회를 조직, 주관하여 한국서예의 국제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전국 각지의 사찰 비명과 달사(達史) 비명을 제작하여 각종 공로상과 경북문화상을 수상하였다. 1992년 3월 5일 85세의 나이로 타계하였다. 이 비는 1933년 10월에 건립되었다.[출처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2010. 5. 29. 달성하씨 유허비 * 유허비 (遺墟碑)1. 선인들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곳에 그들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2. 나라 위해 몸 바친 이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그 유허에 세운 비.3. 유허 : 오랜 세월에 쓸쓸하게 남아 있는, 역사 어린 곳.* 망우공원 인근에(수성구 만촌동 188-1) 조선시대 선비 하시찬(夏時贊)을 추모하기 위해 그의 제자들과 유림들이 세운 재실인 '독무재'가 있는데, 혹시 이 유허비의 주인공이 아닐까 싶네요. 2010. 5. 29. 임란호국 영남충의단 * 임란 호국 영남 충의단. * 충의단 전시관. 2010. 5. 29. 홍의장군 곽재우 선생 동상, 망우당 기념관 * 망우당(忘憂堂) 기념관 2010. 5. 29. 대구부 수성비 * 대구부수성비 (大邱府修城碑)* 대구시 유형문화재 제5호 (수성구)* 소재지 : 대구 수성구 만촌동 산83-5 영남제일관 앞조선 고종 때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해 온 김세호가 대구부성을 수리한 후 그 기념으로 세운 비이다. 대구부성은 영조 때 경상관찰사 민응수가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았는데 그 후 성이 훼손되어도 제대로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던 것을 김세호가 수리한 것이다.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비문에는 공사에 관한 내용과, 유공자에게 상을 내린 일이 적혀 있다.고종 6년(1869)에 세운 비로, 관찰사 김세호가 직접 비문을 짓고, 당시 공사 책임관이었던 최석로가 글씨를 썼다. 광무 10년(1906) 대구부성이 헐리면서 갈 곳을 잃었다가 1932년 대구향교 경.. 2010. 5. 29. 영영축성비 * 영영축성비 (嶺營築城碑)* 대구시 유형문화재 제4호 (수성구)* 소재지 : 대구 수성구 만촌동 산83-5 영남제일관 앞임진왜란 때 허물어진 대구토성을 돌로 다시 쌓은 후 이를 기념하고자 세운 비이다.비는 직사각형으로, 바닥돌 위에 비몸을 세운 간단한 모습이다. 비문에 의하면 성의 둘레는 2,145보(步)이며, 네 개의 문을 만들고 성을 지키기 위한 군량, 전포 등을 갖춘 창고를 두었다. 석성의 공사기간은 6개월이며, 동원된 인원은 78,534명에 달한다. 성이 완성된 뒤에는 여러 장사들을 모아 활쏘기대회를 열어 상을 주었다 한다.경상도 관찰사였던 민응수가 나라에 건의하여 영조 13년(1737) 대구 남문 밖에 세워두었으며, 민응수가 비문을 짓고, 백상휘가 글씨를 썼다. 광무 10년(1906)에 성은 .. 2010. 5. 29. 영남제일관 * 대구부수성비와 영영축성비. 2010. 5. 29. 비온후 2010. 5. 26. 위인 달성 서강준 창덕비 偉人 達城 徐罡俊 彰德碑* 위인 달성 서강준 창덕비. 두류도서관(사진 오른쪽에 보이는 건물)뒤편에 위치.* 창덕 : 남의 아름다운 덕이나 어질고 착한 행실을 밝혀 드러냄. 또는 그 덕이나 행실. 2010. 5. 17. 두류공원 이상화, 이인성 동상 외 2010. 5. 17. 이전 1 ··· 81 82 83 84 85 86 87 ··· 1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