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Uncertainty Principle)
-----------------------------------------
▶ 전자는 보어의 원자 모델에서처럼 궤도를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어떤 위치에 존재할 수 있는 확률만을 생각할 수 있다. Why?
▶ 전자와 같이 작은 입자(양자)는 위치(x)와 운동량(P), 두 가지 양을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순간 운동량은 알 수 없게 된다.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므로,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불확정성이 존재한다.
⇨ 하이젠베르그의 불확정성 원리
그리드형(광고전용)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정. 역가 측정 (0) | 2017.05.24 |
---|---|
인산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 (0) | 2017.05.24 |
아세트산 100 mL(MW 60.05, d 1.049)로 1 M 용액 만들기 (0) | 2017.05.24 |
CaO + CH3COOH (0) | 2017.05.24 |
95% 에탄올 시약으로 40% 에탄올 용액 1 L 만들기 (2) | 2017.05.23 |
대기의 조성. 공기의 조성 ★ (0) | 2017.05.23 |
담배연기는 기체가 아닌 콜로이드 (0) | 2017.05.23 |
비커의 용도. 표준용액을 만들 때 (0) | 2017.05.23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