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

용해도의 정의. 염의 용해도

by 영원파란 2016. 1. 27.
반응형
728x170

용해도의 정의. 염의 용해도

 

 

어떤 염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70에서 60 g, 30에서 20 g이다.

70의 포화용액 100 g30로 식힐 때,

석출되는 염의 양을 구하시오.

 

-----------------------------------------

 

용해도의 정의: 어떤 온도에서,

용매 100 g에 최대로 용해될 수 있는 용질의 g

( 일반적 정의: 일정 용매에 용해되는 용질의 최대량 )

( 용액이 아닌 용매에 주의해야 합니다. )

 

70에서 염의 용해도가 60 g이므로, 포화용액의 질량은

용매 + 용질 = 100 g + 60 g = 160 g

 

염의 용해도로부터,

70에서 물 100 g으로 포화용액을 만든 후

30로 냉각시키면 40 g 염이 석출됩니다.

60 g 20 g = 40 g

( 왜냐하면, 30℃에서 최대로 용해될 수 있는
염의 질량은 20 g이기 때문에, 나머지는 고체로 석출됩니다
. )

 

, 70에서 포화용액 160 g

30로 냉각시키면 40 g 염이 석출되므로,

70에서 포화용액 100 g

30로 냉각시키면 25 g 염이 석출됩니다.

 

용액 : = 160 g : 40 g = 100 g : ?

? = 40 * 100 / 160 = 25 g

 

: 25 g

 

 

[키워드] 용해도 정의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