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중유 5 kg 완전 연소 저위발열량 MJ 고위발열량 41900 kJ/kg
B중유 5kg을 완전 연소시켰을 때 저위발열량은 약 몇 MJ 인가? (단, B중유의 고위발열량은 41900 kJ/kg, 중유 1kg에 수소 H는 0.2kg, 수증기 W는 0.1kg 함유되어 있다.)
① 96
② 126
③ 156
④ 186
------------------------
고체/액체 연료의 Hl = Hh – 600(9H + W)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781 )
[주목] [주의]
위 공식에서,
고위발열량(Hh)의 단위와
저위발열량(Hl)의 단위는
kcal/kg 임을 ‘꼭’ 기억할 것.
따라서 만약, 이 문제와 같이
고위발열량(Hh)의 단위와
저위발열량(Hl)의 단위가
kJ/kg 이라면,
1 kcal = 4.2 kJ 이므로,
계산 공식은
Hl = Hh – 600×4.2(9H + W)
= 41900 – 600×4.2(9×0.2 + 0.1)
= 37112 kJ/kg
B중유의 양이 5 kg이므로,
(37112 kJ/kg) × 5 kg
= 185560 kJ
= 185.560 MJ
답: ④ 186
[다른 계산 방법1]
(41900 kJ/kg) (1 kcal / 4.2 kJ)
= 9976.19 kcal/kg
Hl = Hh – 600(9H + W)
= 9976.19 – 600(9×0.2 + 0.1)
= 8836.19 kcal/kg
(8836.19 kcal) (4.2 kJ / 1 kcal)
= 37112 kJ/kg
[다른 계산 방법2]
수소 연소 반응식
2H2 + O2 → 2H2O 또는
H2 + 1/2 O2 → H2O
연료에 포함된 수소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H2O의 질량을
질량비로 계산하면,
H2 : H2O = 2 : 18 = 0.2 kg : ? kg
? = 18 × 0.2 / 2 = 1.8 kg H2O
( ? = 0.2 × (18/2) = 1.8 kg )
( ? = 0.2 × 9 = 1.8 kg )
전체 수분
= 연료에 포함된 수분 + 생성된 수분
= 0.1 + 1.8 = 1.9 kg
25℃, 물의 증발 잠열 = 2440 kJ/kg 이므로,
1.9 kg × (2440 kJ/kg) = 4636 kJ
---> 수분 증발에 사용된 열
= 수분의 증발 잠열
“중유 1kg에 수소 H는 0.2kg, 수증기 W는 0.1kg”
이므로, 연료 1 kg당 수분의 증발 잠열
= 4636 kJ/kg
연료 1 kg당 저위발열량
= 41900 – 4636
= 37264 kJ/kg
5 kg × (37264 kJ/kg)
= 186320 kJ
= 186.320 MJ
[키워드] 고위발열량 기준,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기준,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 기준, 고위발열량 사전, 고위발열량 저위발열량 사전,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 사전, 물의 증발잠열 기준, 물의 증발잠열 사전
'공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탄 연소하한값 1.6 vol% 연소에 필요한 최소산소농도 (2) | 2025.04.29 |
---|---|
1기압에 해당하는 물기둥의 높이 (1) | 2025.04.09 |
수분함량 85% 식품 1000 kg을 수분함량 5%로 건조 (3) | 2025.04.07 |
산업안전보건교육 기출문제 (1) | 2025.04.06 |
작업장 용적 2500 m3 메틸클로로포름 0.03 m3/min 발생 유효환기량 50 m3/min (3) | 2025.04.03 |
압축기 6기통 피스톤 직경 140 mm 행정 110 mm 회전수 800 rpm (3) | 2025.04.02 |
0.8 MPa 20℃ CO2 기체 10 kg 체적(m3) (1) | 2025.03.28 |
18℃, 1 atm에서 1.2 kg CO2의 부피(L) (1) | 2025.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