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수소 기체 1 g 중 수소 원자의 개수
------------------------

H–H 분자 1개를 쪼개면,
H 원자의 개수는 2개가 된다.
---> H2 : H = 1 : 2 개수비(= 몰수비)
H–H 분자 1 mol을 쪼개면,
H 원자의 몰수는 2 mol이 된다.
수소 기체 = H2 이고,
H2의 몰질량 = 2 g/mol 이고,
1 mol = 6.022×10^23 개 이고,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1개(= mol) H2 분자 속에
2개(= mol) H 원자가 들어있으므로,
즉, 1개 H2 = 2개 H 이므로,
H2 분자 1 g 중 H 원자의 개수를 계산하면,
(1 g H2) (1 mol H2 / 2 g H2) (6.022×10^23 개 / 1 mol) (2개 H / 1개 H2)
= (1) (1 / 2) (6.022×10^23) (2)
= 6.022×10^23 개 H 원자
답: 6.022×10^23 개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4388 ]
[목차] 분자 속 원자의 몰수와 개수
[키워드] 분자 속 원자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02장] 원자, 분자, 이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3^- 이온의 이온전하가 –1인 이유 (1) | 2025.03.27 |
---|---|
산소산 음이온 명명법. SeO4^2- SeO3^2- TeO4^2- TeO3^2- (5) | 2025.03.23 |
이온쌍으로부터 만들어지는 화합물의 화학식 예측. Cr^3+와 CN^- (1) | 2025.03.21 |
화학 반응식의 이해. C + O2 → CO2 (3) | 2025.03.14 |
수소 원자 1 mol이 포함된 물 분자는 0.5 mol (1) | 2025.02.19 |
2NaCl과 Na2Cl2의 차이 (4) | 2025.02.16 |
주기율표 20번까지 보어 모형(Bohr model) (3) | 2025.01.24 |
이온 결합 물질의 화학식. Na2O LiF (11) | 2025.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