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02장] 원자, 분자, 이온

수소 기체 1 g 중 수소 원자의 개수

by 영원파란 2025. 3. 7.

AdSense@ywpop

728x170

수소 기체 1 g 중 수소 원자의 개수

 

------------------------

 

수소 기체 1 g 중 수소 원자의 개수

 

H–H 분자 1개를 쪼개면,

H 원자의 개수는 2개가 된다.

---> H2 : H = 1 : 2 개수비(= 몰수비)

 

H–H 분자 1 mol을 쪼개면,

H 원자의 몰수는 2 mol이 된다.

 

 

 

수소 기체 = H2 이고,

H2의 몰질량 = 2 g/mol 이고,

1 mol = 6.022×10^23 개 이고,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1개(= mol) H2 분자 속에

2개(= mol) H 원자가 들어있으므로,

즉, 1개 H2 = 2개 H 이므로,

 

H2 분자 1 g 중 H 원자의 개수를 계산하면,

(1 g H2) (1 mol H2 / 2 g H2) (6.022×10^23 개 / 1 mol) (2개 H / 1개 H2)

= (1) (1 / 2) (6.022×10^23) (2)

= 6.022×10^23 개 H 원자

 

 

 

답: 6.022×10^23 개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4388 ]

[목차] 분자 속 원자의 몰수와 개수

 

 

 

[키워드] 분자 속 원자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