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과 물의 혼합. –5℃ 8 g 얼음 + 90℃ 130 cm3 물
온도가 –5℃인 8 g의 얼음이
초기온도가 90℃인 130 cm3의 물에 넣어져 녹고 있다.
평형점에서의 온도는?
단, 얼음의 비열은 Ci, 물의 비열은 Cw, 얼음의 융해열은 C
---------------------------------------------------
▶ 참고: 열용량과 비열
[ https://ywpop.tistory.com/2897 ]
---------------------------------------------------
> q = C m Δt
> q = C m
( 참고: 현열과 잠열 https://ywpop.tistory.com/19273 )
최종(평형점) 온도를 x라 두면,
물이 잃은 열(–q) = 얼음이 얻은 열(+q)
–[(Cw) (130) (x – 90)]
= (Ci) (8) (0 – (–5)) + (C) (8) + (Cw) (8) (x – 0)
–(130) (Cw) (x) + 11700Cw
= 40Ci + 8C + (8) (Cw) (x)
(8) (Cw) (x) + (130) (Cw) (x)
= 11700Cw – 40Ci – 8C
(138) (Cw) (x) = 11700Cw – 40Ci – 8C
x = [11700Cw – 40Ci – 8C] / 138Cw
답: x = [11700Cw – 40Ci – 8C] / 138Cw
[참고] 얼음의 비열 0.5 cal/g•℃, 융해열 80 cal/g 이라면,
x = [11700(1) – 40(0.5) – 8(80)] / 138(1)
= 80℃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0494 ]
얼음과 물의 혼합. –10℃ 얼음 30 g + 65℃ 물 100 g
[키워드] 얼음과 물의 혼합 기준문서, 얼음과 물 기준문서
'일반화학 > [05장] 열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ΔH 계산. 2H2O2(l) → 2H2O(l) + O2(g) (2) | 2023.04.11 |
---|---|
1 atm의 외부 압력에서 0.5 L 팽창될 때 일(J) (1) | 2023.04.09 |
90.5 kPa 33.6 L 11.2 L work(J) (0) | 2023.04.07 |
50.0 g of Al cool from 90.0℃ to 30.0℃ (1) | 2023.03.08 |
생성엔탈피로 반응엔탈피 계산. 수성 가스 반응열 (1) | 2023.01.20 |
110℃ iron 15℃ water 50 mL 17.4℃ iron mass 0.4723 (2) | 2023.01.19 |
1000 g 물 봄베 열량계 5 g 연소 30℃ 상승 열용량 400 J/℃ (1) | 2023.01.04 |
50.0 kg rock 12.0℃ heat 0.82 J/g-K 450 kJ heat emit (2)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