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07장] 원소의 주기적 성질

금속의 이온전하(= 산화수) 결정하기

by 영원파란 2022. 9. 17.

AdSense@ywpop

728x170

금속의 이온전하(= 산화수) 결정하기

 

 

 

[참고] 주기율표 족 이름 붙이는 방법

① 미국식: 전형원소는 A, 전이원소는 B

② IUPAC: 전형/전이 구분없이 1족~18족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893 )

 

 

 

 

[그림] 주기율표와 이온전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841 )

 

 

 

 

▶ 금속의 이온전하를 암기할 때는

전형원소, 전이원소로 구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1A족 금속의 이온전하 = +1 (항상, 100%, 예외없음)

> 족의 숫자와 이온전하 값이 같다.

예) Na^+, K^+

 

 

 

2A족 금속의 이온전하 = +2 (항상, 100%, 예외없음)

> 족의 숫자와 이온전하 값이 같다.

예) Mg^2+, Ca^2+

 

 

 

3A족 금속인 Al의 이온전하 = +3 (항상, 100%, 예외없음)

> 알루미늄의 이온전하만 항상, 100% +3.

 

 

 

2B족 금속인 Zn의 이온전하 = +2 (99%)

> 이 때문에 어떤 학자는 Zn을 전이금속에서 제외시키기도 함.

 

 

 

▶ 나머지 모든 금속의 이온전하는

화학식이 주어졌을 때, 화학식을 보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을 이용해서 결정한다.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https://ywpop.tistory.com/2719 )

 

 

 

산화수 구하는 규칙으로 몇 개 전이금속의 이온전하를 결정해보면,

 

TiO2에서 Ti의 이온전하 = +4

> 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

(Ti) + 2(O) = 0

(Ti) + 2(–2) = 0

 

> 따라서 Ti의 산화수 = +4.

 

 

 

KMnO4에서 Mn의 이온전화 = +7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583 )

 

 

 

FeCl3에서 Fe의 이온전하 = +3

> Cl의 산화수 = –1 (넘버 1인 F의 사촌) 이므로,

(Fe) + 3(Cl) = 0

(Fe) + 3(–1) = 0

 

> 따라서 Fe의 산화수 = +3.

 

 

 

 

 

[그림] 루이스 전자 점 기호로 나타낸 주기율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72 )

 

8족 비활성기체의 전자배치(8개 전자)와 같아지려고,

① 1 ~ 3개의 전자를 가진 금속은 전자를 버린다(버리고 싶어한다).

---> 금속은 +1 ~ +3가의 양이온이 된다.

② 5 ~ 7개의 전자를 가진 비금속은 전자를 얻는다(얻고 싶어한다).

---> 비금속은 –3 ~ –1가의 음이온이 된다.

( 참고: 옥텟 규칙 https://ywpop.tistory.com/2634 )

 

 

 

 

 

[그림] 전이금속의 산화수. oxidation states of transition metals.

( 참고: 전이금속(3B~2B)의 이온전하 https://ywpop.tistory.com/7346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3012 ] 무기화합물 명명법에서 괄호안의 로마숫자

 

 

 

[키워드] 금속의 이온전하 기준문서, 금속의 이온전하 사전, 금속의 산화수 기준문서, 금속의 산화수 사전, 금속의 이온전하 결정 기준문서, 금속의 이온전하 결정 사전, 금속의 산화수 결정 기준문서, 금속의 산화수 결정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