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식종희석수를 사용한 시료의 BOD
폐수의 BOD 측정위해 300 mL BOD병에 폐수 5 mL를 주입하고 식종희석수로 희석하였다. 시료의 초기 DO는 8.8 mg/L, 5일간 배양후 DO는 3.8 mg/L였다. 사용한 식종희석액은 희석액 1 L에 대하여 식종액 5 mL 비율로 가한 것이며, 식종희석액의 BOD 배양전 DO는 8.0 mg/L, 배양후 6.0 mg/L였다. 검수의 BOD는?
---------------------------------------------------
식종희석수의 양(A) = 300 mL – 폐수의 양(mL)
= 300 – 5 = 295 mL
식종희석액의 비율(B) = 식종액의 양(mL) / 희석액의 양(mL)
= 5 mL / 1000 mL = 0.005
f = [(A × B) / 300 × 100] / (B × 100)
= A / 300
= 295 / 300
= 0.9833
BOD = [(DO_i – DO_f) - (B_i – B_f) × f] × P
(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12359 )
= [(8.8-3.8) - (8.0–6.0)×0.9833] × (300 / 5) = 182 mg/L
답: 182 mg/L
[키워드] 공부중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공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D_5가 150 mg/L이고 최종 BOD가 250 mg/L (1) | 2019.11.19 |
---|---|
수심 3.7 m, 폭 12 m, 유속 0.05 m/sec일 때 레이놀즈수(Re) (0) | 2019.11.15 |
15℃에서의 BOD_8의 값 (1) | 2019.11.14 |
생분뇨의 부유물질 농도가 35000 mg/L, 하루 배출량이 100 m3 (0) | 2019.11.13 |
(DO_i – DO_f) × P. BOD 분석시 용존산소 5 mg/L 소모 (0) | 2019.11.02 |
혼합 함수율. 70% 하수슬러지 50 m3 + 36% 쓰레기 1200 m3 (0) | 2019.11.01 |
(DO_i – DO_f) × P. 300 mL BOD병에 6 mL 시료 (1) | 2019.10.30 |
(DO_i – DO_f) × P. 증류수 폐수 4:1로 혼합 DO_i 9 mg/L (0) | 2019.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