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학&기술

식종희석수의 BOD 계산 ★

by 영원파란 2019. 10. 30.

AdSense@ywpop

식종희석수의 BOD 계산

 

---------------------------------------------------

 

[1] 희석수에 식종(seeding)을 안한 경우, 시료의 BOD(mg/L) 계산

 

BOD = (DO_i – DO_f) × P

 

> DO_i와 DO_f는 초기 및 최종 용존산소(DO) 농도(mg/L)

> DO_i = 희석(조제)한 시료의 15분간 방치한 후의 DO(mg/L)

> DO_f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조제)한 시료의 DO(mg/L)

> P = 희석배수

= 희석 후 부피 / 희석 전 부피

= BOD병의 부피 / 시료의 부피

( 참고: 희석배수 https://ywpop.tistory.com/4473 )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2362 ] 300 mL BOD병에 6 mL의 시료를 넣고 희석수로 채운 후의 용존산소가 8.6 mg/L 이었고

 

 

 

 

[2] 희석수에 식종을 한 경우, 즉 식종희석수를 사용한 시료의 BOD 계산

 

BOD = [(DO_i – DO_f) – (B_i – B_f) × f] × P

 

> B_i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전의 DO(mg/L)

> B_f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후의 DO(mg/L)

> f = 시료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x%)에 대한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y%)의 비(x / y)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2153 ]

> BOD병의 부피 = 300 mL

> 시료의 부피 = 5 mL

> 희석 시료의 15분간 방치 후 DO, DO_i = 7.6 mg/L

> 희석 시료의 5일간 배양 후 DO, DO_f = 4.0 mg/L

> 희석 식종액의 배양 전 DO, B_i = 7.6 mg/L

> 희석 식종액의 배양 후 DO, B_f = 7.0 mg/L

 

 

 

 

[참고] 식종희석수

> 소독 및 살균 등으로 폐수 중에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BOD 측정을 위하여 하천수 등을 식종액으로 하여 희석수를 제조한 것.

 

 

 

 

[키워드] 식종 BOD 측정 기준문서, 식종 BOD 계산 기준문서, 식종 BOD 기준문서, 식종 기준문서, 식종하지 않은 기준문서, 식종 안한 기준문서, 식종 희석수 기준문서, 희석 식종액 기준문서, 희석 식종액 BOD 기준문서, 식종 BOD 측정 사전, 식종 BOD 계산 사전, 식종 BOD 사전, 식종 사전, 식종하지 않은 사전, 식종 안한 사전, 식종 희석수 사전, 희석 식종액 사전, 희석 식종액 BOD 사전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